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자
공동 작업자
d라이브러리
"
일의 동료
"(으)로 총 1,035건 검색되었습니다.
DNA분자기계로 뇌혈관 청소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뇌혈관을 청소하는 일을 하는 미세 장치를 만들게 될 것 같다. 뉴욕대학의 시먼 박사와
동료
들은 DNA로부터 ‘움직이는 부품’을 얻어냈다고 발표했다. 이 장치는 두 가닥으로 꼬인 DNA나선을 접합시켜 얻어냈는데 그 모양이 경첩과 같다. 특정 화학용액에 노출될 때 장치는 한 부분이 구부려지면서 ... ...
② 인간 생명은 언제 시작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따라서 정자는 이 관문들을 무사히 거쳐야 비로소 난자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수억개의
동료
정자들 중 성공적으로 난자 주위에 도달하는 것은 수백여개에 불과하다. 이 중 가장 빠르고 운(?)이 좋은 정자 하나가 난자의 투명대층을 뚫고 들어가서 난자세포막에 도달한다. 이때 즉시 (1초 이내) ... ...
전인미답의 산을 오르는 화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화학상 수상자는 수십명이 넘었지만 우드워드가 받은 찬사는 특별했다. 하버드 대학의
동료
는 그를 유기화학이라는 분야의 토대를 만든 “에밀 피셔나 아구스트 케쿨레와 비견할 만하고 화학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유기화학자그룹에 속한다”고 칭송했으며, 많은 이들이 우드워드의 유기합성이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사용한 표준 도구는 ESP카드이다. 1930년 듀크 대학에서 처음 사용된 이 카드는 라인의
동료
인 칼 제너가 고안했으므로 한때 제너 카드(Zener card)라고 불렸다. ESP카드는 별, 십자, 네모, 원, 세줄의 파도 등 다섯가지 기호가 그려진 카드가 각각 다섯장씩 들어 있어 모두 25장으로 구성된다.실험이 ... ...
19세기) 사립탐정 선구자 핀커턴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때 암살될 것이라 공공연히 떠드는 것이 아닌가.핀커턴은 사태가 심상치 않음을 깨닫고
동료
탐정 데이비스를 암살음모단에 투입한다. 데이비스는 술집에서 암살음모단의 일원으로 보이는 사람에게 “나도 링컨에 반대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모임에 가입하는데 성공한다.암흑 속의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기면증은 우울증이나 게으름, 무력함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족이나 직장
동료
의 이해가 필요하다. 물론 기면증 증세가 보이면 낮잠만 잘게 아니라 정신과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잠이 아예 잘 안오거나 잠자리가 불편해 자주 깨는 증상인 불면증에 시달리는 경우는 어떨까.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철저히 학생을 중심으로 한 확산적, 비판적 사고를 요구하는 탐구과정이어야 하며, 같은
동료
학생들에게 상호 자극을 주어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장병기교수는 과학고 학생들이 수업시간 외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구들과 토론하면서 자기 보다 우수한 학생들의 사고 ... ...
수은화합물 흡수하는 나무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식물을 이용해 제거할 수 있는 날도 멀지 않았다. 미국 조지아 대학의 클레이튼 루와
동료
들은 생물공학 전문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러지’에 수은화합물을 흡수하는 나무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이 나무는 다른 식물들이 자랄 수 없을 만큼 수은으로 오염돼 있는 토양에서도 수은화합물을 ... ...
모차르트 42번 교향곡은 컴퓨터 작품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취할 행동을 결정하여 그림을 생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동료
들의 무관심과 회의적인 눈초리를 감내하며 각고의 노력 끝에 아론 개발에 성공한다.일단 프로그램이 동작을 시작하면 아론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 아론은 두 종류의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하나는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입장에서 해석하는 기초분야다.이서구 박사는 "노벨상감 아이디어는 대학원에서 교수와
동료
간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서 떠오르기 시작한다" 고 전제하고 "현재 한국의 대학원 분위기는 그럴 여유를 갖추지 못했다"고 진단한다. 남들이 관심을 갖지 않거나 너무 어려워 풀지 못하는 한가지 문제를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