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식"(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검사한다. 스피로스마트는 환자가 숨을 내쉬는 소리 크기와 높낮이 등을 마이크로 인식해서 폐활량을 계산한다. 52명을 대상으로 앱으로 폐활량을 측정하고 의료용 폐활량 측정기의 측정 결과와 비교했다. 그러자 측정 결과가 94.9% 일치할 정도로 정확하게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doi:10.1145/2370216.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장치들의 신호는 높은 주파수 영역대에 실어 보낸다. 캔은 높은 영역대의 주파수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보에 혼선이 생길 가능성은 낮다.이 책임연구원은 “원천기술을 확보했지만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터보 캔을 적용한 차량용 반도체와 집적회로를 만들어서 전자장치를 구동하는 ... ...
- [과학뉴스] 물은 정말 무(無)맛일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물에도 맛이 있을까. 많은 곤충들이 물의 맛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포유류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 계속 물통을 핥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는 신맛 수용체가 물을 인식한다는 명확한 증거”라고 말했다. doi:10.1038/nn.457 ...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확률보다 높겠지요. 이렇게 계산하고 확률을 따져보면 단순히 눈으로만 보고 패턴을 인식할 때보다 훨씬 더 빨리 반응할 수 있습니다. 할리갈리의 승리 비법이지요.그런데 게임을 하면서 명심할 점은 승자든 패자든 모두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게 더 중요하다는 거예요. 철저한 계산을 통해 이기는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액의 액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입니다. 그런데 에핀을 혈액에 주입하면 에핀을 항원으로 인식해 항체가 만들어집니다. 원숭이 실험 결과, 항체 때문에 에핀이 정액 성분과 결합하지 못했고, 응고된 정액이 다시 액화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정자가 응고된 정액을 탈출하지 못해 피임에 성공할 수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해도, 디지털 통신의 수신기는 빛 정보가 일부라도 도착하는 순간 ‘1’로 정확히 인식한다. 도청자가 10억 개의 광자에 담긴 정보를 빼냈는지 여부는 모르는 것이다.그런데 양자암호는 다르다. 양자암호키 생성자가 어떤 방식으로 광자에 정보를 넣었는지 모른 채로 양자암호를 측정하면, 양자 중첩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대인관계에서 후각을 활용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실제로 사람은 땀 냄새 등 체취를 인식하는 능력이 다른 동물보다 뛰어나다.수많은 연구 결과는 사람의 후각 능력에 대한 오명을 벗기는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대뇌가 감추고 있는 수많은 신비를 하나씩 알아가기 위해서라도 후각에 대한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부분으로, 결국 하나의 백신에는 1000개 미만의 항원결정부위가 있다. 각 항원 결정부위를 인식하려면 약 10ng/mL 농도의 항체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항체를 만들어내는 B세포가 약 1000개 필요하다. 신생아의 혈액 1mL에는 약 1000만 개의 B세포가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신생아는 한 번에 1만 개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주변을 입체적으로 감지하면 컴퓨터가 도로 상황을 분석해요. 동시에 GPS로 위치를 인식하고 목적지까지 경로를 계획해 자동차의 움직임을 제어하지요. 한번 타 볼까요?”무인자율주행 자동차는 캠퍼스 내 도로를 시속 20km 정도로 달렸어요. 운전석에 앉은 연구원이 핸들에 손을 대지도 않았는데 ... ...
- 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하나 놓여 있어요. 나방이 가고 싶은 방향으로 공을 굴리면 로봇은 공이 굴러가는 방향을 인식하고 그 방향으로 움직인답니다.또한 이 공 앞에는 선풍기가 두 대 달려 있어요. 이 선풍기는 냄새가 나는 방향을 나방에게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답니다. 즉, 냄새가 나는 방향으로 나방이 로봇을 조종해서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