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부"(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섞임과학동아 l2016년 08호
- 108쪽 기획).섞임의 반대말은 고립이다. 육지가 바다를 막으면 해류가 고립되고, 해류가 외부 물길을 막으면 육지가 고립된다. 고립의 결과 어떤 지역은 따뜻해지고(북아메리카 서부), 어떤 지역은 추워진다(극지). 지금의 지구 기후는, 많은 부분을 고립에 빚지고 있다(72쪽 특집).섞임의 다른 말은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적응하려면 힘들겠어요.해 그래서 요즘은 ‘컨디셔닝’이라는 게 중요해졌습니다. 외부 환경은 물론, 선수의 몸과 정신의 상태를 최고의 상태로 만드는 스포츠 과학이죠.➊ 시차 적응 | 입국 뒤 1~2일 안에 적응해야아 모든 선수들이 신경을 곤두세우는 것이 시차일 텐데요. 우리나라와 이곳 브라질은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수는 3.06명으로 매우 낮다. 특허 문제 같이 교내에서 전문가를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문은 모두에게 열려 있다다른 학교에서 DGIST의 융・복합연구로 피서를 온 학생들도 있었다. DGIST는 매년 여름 방학을 앞두고 인턴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한다. 치열한 경쟁 끝에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3월, 영국 케임브리지대 알레스테어 크리스프 교수팀은 인간의 유전자 2만 개 중 145개가 외부에서 수평 전달을 통해 유입됐음을 확인해 ‘영국왕립학회보B’에 발표했다. 이 유전자들은 대부분 소화 효소와 관련된 것으로 박테리아, 균류, 조류 등에서 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크리스프 교수는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틈틈이 연결하면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았다.본격적인 제작은 대부분 외부에 맡겼다. 200개나 되는 배지를 테스트처럼 일일이 조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비용과 시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직접 하기로 했다. 그중 하나가 납땜이었다. 비교적 크기가 커 납땜이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해당하는 광도만큼 빛을 내면서 천천히 자란다. 이 과정에서 안쪽으로 작용하는 중력과 외부로 방출하는 복사 압력이 평형을 이룬다. 만약 자기 질량보다 더 큰 광도를 내면 과도한 복사 압력 때문에 기체들이 흩어진다. 강착원반이 와해된다는 말이다. 이를 ‘에딩턴 한계’라고 한다. 만약 태양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된 에너지 생성 유전자는 진핵세포의 외부 유전자 중 가장 늦게 들어온 축이었다. 시간순서로 볼 때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세포에 들어올 때 이미 복잡한 구조가 있었다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이전에 들어온 세균 유전자는 다른 세균으로부터 수평적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다. 최 박사는 “중력파 검출기처럼 등가원리 검증기도 내외부에서 생기는 온갖 잡음의 영향을 없애는 게 핵심 기술”이라고 말했다.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다. 1908년 외트뵈시가 검증한 등가원리와 2008년 최 박사가 검증한 등가원리 사이에는 중요한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로봇이나 무인기, 스마트폰 등 사람의 생활을 돕는 인공지능 기기는 센서가 있어야만 외부의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그에 맞게 대응할 수 있거든요. 사람으로 치면 카메라와 레이저는 인공지능의 눈, 마이크와 음성인식 센서는 귀, 단어 합성 능력과 스피커는 입인 셈이에요.이런 인공지능의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즉, 기증자 B의 미토콘드리아는 A의 난자에 들어선 순간 ‘천애의 고아’가 돼, 이전처럼 외부 DNA에 적응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다울링 교수는 “난자가 만들어질 때 미토콘드리아와 가장 궁합이 잘 맞는 DNA가 자연 선택됐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세 부모 아이’의 안전성을 지지하는 또 다른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