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단축
shrinkage
감소
절감
제한
경련
d라이브러리
"
수축
"(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3. 통증을 정복한다 : 우리 몸에는 '천연아편' 이 존재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실험은 성공했다. 휴즈와 카스테리츠는 수정관이 아편과 결합할 때 리드미컬하게
수축
하는 성질을 발견하고, 여기에서 엔케팔린을 찾을 수 있었다.엔케팔린(희랍어로 '머리 속'이란 뜻)은 메테오닌을 포함해 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메테오닌-엔케팔린과 루이신을 포함한 5개의 아미노산으로 ... ...
2. 지구는 태양의 혜택을 얼마나 누릴까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만다는 한계에 부딪혔다.또 태양에너지가 무한히 큰 원시성운에서 오늘날의 별로
수축
할 때 생긴 중력에너지로 나왔다는 가설 역시 설득력이 없었다. 이것 역시 태양이 현재와 같은 비율로 에너지를 방출한다면 수천만년이 지나면 태양은 식어버리기 때문이다.오늘날 밝혀진 태양에너지의 근원은 ... ...
당신의 체형은 정상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 턱을 내려 안으로 넣고, 머리를 위로 올려 목을 수직으로 한 상태로 힘을 주면서 근육을
수축
시킨다.2. 손으로 머리의 전후좌우를 밀고 머리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민다.3. 이 상태를 10-15초간 하고, 4-5초 쉰 후, 20-30회, 매일 3-4회 반복한다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소화관 뇌도 마찬가지다. 밤에 음식물이 없을 때 소화관 근육은 90분 간격으로 서서히
수축
되다 요동치는 움직임을 보인다.이 사이클을 통해 두 개의 뇌가 서로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 한 예로 위장 장애 환자들은 비정상적인 렘수면을 갖는다. 이는 '소화 불량에 걸리면 악몽을 꾼다' 는 속설과도 ... ...
2. 천문학 태양계는 질서정연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혼돈상태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천체도 존재한다.태양보다 큰 별이 수시간의 주기로
수축
팽창하며 광도변화를 일으키는 단주기 변광성이 있다. (그림4)처럼 이 변광성의 광도변화는 매우 복잡하고 무질서해 보인다. 이것은 변광성이 간단한 선형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지 않는 극도의 혼돈스런 ... ...
수지침 - 인체의 축소판, 손을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다른부위에 비해 손에 많이 연결돼 있다. 만일 교감신경 활동이 높아지면 말초혈관이
수축
돼 혈압이 오르거나 위장 활동이 둔해지며, 심장이 심하게 두근거리기도 한다. 이때 손에 어떤 자극을 가해 교감신경 활동을 억제한다면 신경계는 균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수지침에서는 손을 '인체의 ... ...
수천년 이어온 동양의 전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쪄서 반찬으로 먹지만, 생으로는 코피 대변출혈 각혈증에 걸린 사람들의 혈관을
수축
시키며 혈액응고시간을 단축시키는 약제로 쓰인다.이렇게 같은 식물이라도 제조과정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게 된다.보약도 알고 먹어야 보약보약은 막연한 개념속에서 이뤄지는 관념적 생활습관이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적응된 눈의 동공이 다시 줄어들기 때문이다. 붉은색 필터는 성도를 볼 때 동공의
수축
을 막아준다. 붉은색 필터가 없다면 셀로판지를 붙여 써도 좋다. 랜턴은 특별히 고급품이 아니라면 2-3천원이면 집 근처 전파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관측용 성도에는 별자리와 함께 성운 성단 은하의 위치가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먹으면 어떻게 변할까. 태양이 속해 있는 주계열의 별들은 나이를 먹을수록 헬륨핵이
수축
하고 바깥쪽 수소는 빠른 속도로 타게 된다. 이때 발생한 엄청난 에너지와 압력으로 별이 부풀기 시작해 온도가 낮아지고 붉은색을 띤다. 그러면서 적색거성(red giant)으로 발전한다. 적색거성에 머무르는 동안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입장에서는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낙하하기 때문에 축지법을 이용하는 도사와 같이 '
수축
된 공간'을 이용해 1백만 분의 2초의 수명을 가지고도 지표면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지표면의 관측자 입장에서는 뮤입자의 '시간이 지연'된 나머지 뮤입자의 수명이 연장돼 지표면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