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강하게 내리는 집중 호우 경향이 클 것으로 보았어요. 지난 1월 국립기상과학원 송환진
박사
와 서울대학교 손병주 교수 역시 최근 집중 호우 경향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최근 20년의 여름철 강수 위성 자료, 지상 자료를 분석해 한반도의 강수 유형이 양극화 추세를 보인다고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두루미, 초보 아빠 두일이 피가 나도 알을 품던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
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 ...
[섭섭
박사
의 메이커스쿨] 누가 요즘 손으로 그림을 그려? 드로잉머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하는 부품끼리는 목공용 접착제를 발라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했어요. 섭섭
박사
님은 “접착제가 스며 나와 톱니바퀴 등에 묻지 않도록 필요한 곳에만 얇게 바르는 게 핵심”이라며 제작 꿀팁을 전했답니다. 알아보자!드로잉머신의 역사는 600년 전부터? 오래 전부터 예술가와 과학자들은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크기가 줄어들기 시작한 시기와 거의 일치한 거죠. 이 소리를 직접 녹음한 버니 크라우스
박사
는 “2019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1970년 이후 미국 북부 지역에서 조류 30억 마리가 사라졌다”면서 “노래하는 새들의 수가 줄어들며 소리도 함께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된 거예요. 양자암호를 연구하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이원혁
박사
는 “모든 것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보안이 점점 중요하다”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양자암호는 꼭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기획] 과학자들, 자연의 소리를 엿듣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이후 자연의 소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지요. 자연의 소리를 들으면 매우 평온해지거든요.
박사
학위를 따고, 음향생태학 연구실에서 인턴 생활을 하며 자연의 소리에 대해 공부했답니다. Q 자연의 소리가 줄고 있다는 걸 체감하시나요?네. 올해 코로나19로 인간의 활동이 줄면서 자연의 소리가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수학자는 리사 피치릴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수학과 교수입니다. 2019년에
박사
학위를 받은 피치릴로 교수는 최근 코로나19로 사망한 수학자 존 콘웨이가 제시한 매듭 문제를 풀어 수학계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피치릴로 교수의 연구는 수학계 최고의 학술지로 꼽히는 ‘수학연보’에 ... ...
[이달의 수학자] 수학의 다양화를 꿈꾸는 질 피퍼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엔젤레스(UCLA) 수학과에서 1979년 학사학위, 6년 뒤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89년부터는 브라운대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죠. 피퍼 교수는 주로 격자암호를 연구합니다. 격자암호는 높은 차원의 격자 공간에서 최단거리를 찾는 ‘격자 문제’를 활용해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에너지원인 태양이 하나 더 생기는 엄청난 일입니다. 2018년 타계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
는 지구가 당면한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꼽으며, 최고의 해법은 핵융합 에너지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얻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죠. 아직까진 그 누구도 가 보지 못한 길이지만, 온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남용운.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연구센터 책임연구원으로 핵융합 플라스마의 상태를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진단장치를 연구하고 있다. yunam@kfe.re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