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정보를 얻고 싶으면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까지 조절할 수 있는 기후 챔버가 달려 있는
대형
장비를 이용한다. 100KN(킬로뉴턴, 1뉴턴은 1kg의 물체를 1m/s2로 가속하는 데 필요한 힘)까지 힘을 가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 속에서 크고 단단한 부품을 시험할 수 있다. 공기의 압력을 높이거나 진공 상태로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장면을 제작할 수 있다.이때는 기존에 영상을 합칠 때 사용하던 ‘블루매트(파란색을 띈
대형
천)’ 대신 미세한 거울이 박혀 모든 각도에서 오는 빛을 반사시키는 특수 스크린이 사용된다. 토드 마골리스 기술감독은 “실제 연기자의 반응에 따라 가상 배우와 배경이 반응하면 실제 배우의 표정과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6500m 깊이도 결코 만만한 깊이는 아니다. 이 정도 깊이에 맨몸으로 들어가면 머리 위에
대형
버스 한 대를 올려놓은 것과 같은 압력이 온몸을 짓누른다. 심해용으로 특별히 만든 잠수함이 아니라면 절대로 넘보지 못할 수심이다. 일반 잠수함의 잠항 깊이는 150m 이하, 최첨단 핵잠수함도 500~700m가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모두 분석하는 일은 많은 과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밤낮으로 연구해도 몇 년씩 걸리는
대형
프로젝트다. 게놈 신분증을 받는 생물은 어김없이 최고 권위의 과학학술지인 ‘사이언스’, ‘네이처’ 표지에 얼굴을 싣는다. 이것이 바로 이 연구가 어렵다는 증거다. 이곳에서 직접 실험하며 게놈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처리의 연장선에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을 짓기로 발표했다. 도심 깊은 곳에
대형
빗물저장 공간을 만들어 홍수대응 시간을 10~15분 정도 벌기로 한 것이다. 이 계획은 많은 예산이 들어 현재 사업진행이 원활하지 않다. 광화문 한 곳에만 무려 320억 원이 들어 도심 침수가 발생하는 곳곳에 이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있다. 김경진 팀장은 “지금도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지어지고 있는 가속기가 3세
대형
방사광가속기”라며 “앞으로도 역할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현재의 가속기로 할 수 없는 새로운 연구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차세대 가속기를 건설할 때가 임박했다는 지적이 ... ...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분야로 현재의 스마트 그리드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연구한 내용은 2005년부터
대형
국가 과제로 시작된 ‘한국형 에너지관리 시스템 개발’, ‘배전지능화 시스템 개발’과 같은 전력IT 사업의 밑거름이 됐다. 2009년부터 본격화된 스마트 그리드 사업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이어갔다 ...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종이라는 뜻이다. 16절 공책을 가로세로 4권씩 총 16권을 나란히 놓으면 전지 크기가 된다.
대형
벽보로 쓰는 ‘46전지’ 다. 너비가 788mm, 길이가 1090mm로 일본에서 쓰는 규격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19세기 후반 일본은 서양에서 인쇄기를 들여왔다. 인쇄기에 맞춘 종이 크기가 바로 전지다. 완전히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천적의 눈을 속일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대나방, 대만나방이나 배버들나방과 같이
대형
종이 대부분인 솔나방과도 이 부류에 속한다.털은 짧은 편이며 등보다는 측면으로 털이 난 것이 독나방 애벌레와 다르다. 몸의 옆면을 따라 털을 늘어뜨리고 가지에 찰싹 달라붙어 그림자를 줄이는 방법으로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전력망의 가장 강력한 후보다. 스마트 그리드는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원을 기존
대형
발전소와 연결하고, 가정과 전력 생산자를 쌍방향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전력 네트워크다. 정교한 제어가 가능해 미래의 복잡한 전력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를 위해서 몇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