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자속에서 요정이 춤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홀로그램 과자는 최종소비자(아이들)에게 요술을 맘껏 보여줄 수 있다.베글라이터의
다음
목표는 투명한 과자 내부에 3차원상을 만드는 투과형 홀로그램과자다. 이 과자 속을 들여다 보면 보는 시각에 따라 형형색색의 요정이 옷맵시를 뽐내고 있을 것이다. 좀더 기술이 진전돼 과자를 회전시켰을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문제는 그 용어 사용의 잘잘못을 떠나서 지나치게 많은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
의 예는 지구과학 교과서중 달과 관련된 단원에 나오는 용어를 나열해 본 것이다.삭망 상현 하현 삭망월 항성월 백도 조석 사리 대조 조금 소조 간조 만조 밀물 썰물 등. 휴-과연 이렇게 많은 용어를 알아야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가장 행복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바로 이들에 얽힌 신화가 아닌가 싶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
달의 페르세우스 신화에서 하기로 하자.안드로메다자리는 2등별들의 열을 따라 추적할 수 있다. 머리에 해당하는 알파별(페가수스 사각형의 동북쪽 끝별)에서 시작해 가슴에 놓인 베타별(Mirach, 허리띠)을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읽어들이거나 윤곽선을 뽑아내는 과정을 되도록 자율화할 필요가 있다. 수정이 끝난
다음
에는 출력될 글자의 품질을 조정하는 최종 마무리 작업을 하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힌팅(hinting) 기술이다.힌팅은 작은 글자에서도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해 글자의 윤곽선을 조정해 주는 특별한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운석을 남길정도로 큰 유성이라면 위험(?)할지도 모른다. 유성관측의 특징을 요약해보면
다음
과 같다.첫째로 관측장소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유성은 우리와 아주 가까운 곳에서 빛을 내기 때문에 관측위치에 따라 출현방향 진행 속도 밝기 등도 달라보인다. 예를 들자면 서울에서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국민교육헌장 전문을 칠때 두벌식과 세벌식의 누르개(시프트)를 누르는 횟수를 비교하면
다음
과 같다.두벌식에 비해 세벌식은 모든 기종간에 자판과 그 타자방식이 통일되어 있으며, 당연히 한 기종의 자판만 배우면 모든 기종을 사용할 수 있다.네모꼴과 빨래꼴우리들이 흔히 보아온 글자꼴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했으나 오늘날에도 여전하다.히말라야산맥 주변에서 사는 티벳의 세르파족은 용변을 본
다음
화장지 대용으로만 왼손을 사용한다. 히말라야의 거봉을 등정할 때 늘 동반하는 용감한 세르파족은 식사할 때에는 반드시 오른손만 사용하라는 부족의 규율에 잘 따른다. 마찬가지로 사우디아라비아인도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때 자주 활용하는 방법이다. 쉽게 말해 평면 위에 한층을 바둑무늬로 늘어놓은 뒤 그
다음
층은 아래층의 네개의 구가 만드는 틈 위에 엇갈려 올려놓아 바둑무늬층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한편 평면 위에 정삼각형 모양으로 늘어 놓은 층을 수직으로 쌓아 나가면 두번째 방법과 다를 바 없어진다. ... ...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러한 판단이 패러데이를 유명하게 만든 것이다.그는 전류의 전자유도 현상을
다음
과 같이 정리했다. ① 한쪽 코일을 흐르는 전류가 변할 때, 다른 쪽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② 한쪽 코일에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 후 두개의 코일을 상대적으로 운동시켜도 다른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수 있는 건물형태가 개발되었고 이를 개선 발전시키는 연구가 각국에서 진행중이다.
다음
으로 지진 및 바람에 대한 저항능력의 향상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계측기술의 발달로 실제 발생한 지진 또는 바람의 강도와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측정된 자료를 토대로 수학적인 ... ...
이전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