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786건 검색되었습니다.
10만분의 1g만으로 물 1t에 포함된 염분 제거하는 '분자'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말했다. 탄소와 수소 결합으로 이뤄진 구조를 사용해 염화물을 결합하는 것도
기존
과 다른 방식이다. 이전에는 질소와 수소 결합으로 이뤄진 구조에 달린 수소가 염화물과 상호작용이 강한 것으로 보고됐다. 하지만 연구팀은 탄소와 수소 결합으로 3차원 구조를 만들면 염화 이온을 중앙으로 ... ...
'작은 지진도 다시보자' 포항지진 조사단 새 지열발전 위해관리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기존
의 경험 가설이 틀렸음을 말해주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동아일보DB 이 단장은 “
기존
에는 발생할 수 있는 유발지진의 규모가 땅속에 주입하는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었다”며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땅속에 물을 넣다가 특정 규모의 지진이 나면 물 주입을 줄이는 식으로 ... ...
ETRI, 고화질 홀로그램 가능성 열다…‘픽셀’ 수직으로 쌓는 발상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25000PPI), 현재 널리 쓰이는 8K UHD 텔레비전보다 250배 뛰어난 화질이 가능해졌다. 또
기존
홀로그램의 해상도인 2~3도를 넘어 30도까지 시야각도 넓혔다. 연구팀은 디스플레이위크 2019 현장에서 실제로 5.5cm 크기의 패널에 올린 5100만 개의 픽셀로 소용돌이 모양의 3차원 홀로그램이 움직이는 장면을 ... ...
1만배 커진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화이트 그래핀’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연구에 참여한 레이닝 장 UNIST 박사과정생이다.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기존
보다 크기가 1만배 커진 2차원 화이트 그래핀(h-BN)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반도체 제작 공정에 바로 적용할 수 있어 신문처럼 둘둘 말리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 ...
약물 성범죄 막기 위한 R&D 사업 진행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대응을 위한 R&D 및 실증을 진행한다. 문제 발생으로부터 문제발생으로부터 R&D 착수까지
기존
소요시간 1~2년이 걸리던 것을 2달 이내로 진행하는 패스트 트랙형 사업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기간 단축을 위해 지난 3월 관련 법령을 개정했다. 심사를 통해 최종 선정된 과제는 4가지다. 중앙부처∙청 및 ... ...
의료용 동위원소로 나노의약품 체내 면역 안정성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쌓인 채 빠져나가지 않아 암 진단이나 치료 효과가 없었다. 박 책임연구원은 “
기존
에는 실험 대상을 직접 해부하거나 투과력이 약해 확인이 어려운 형광물질을 사용해 면역력 확인이 어려웠는데 지르코늄-89 덕분에 확인이 쉬워졌다”며 “의료용 동위원소를 공급해 의료기관 및 기술 발전에 ... ...
DGIST, 차세대 CZTS계 박막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요건이 없는 실험실 전지 범주에서는 미국 IBM과 동률인 12.6%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IBM 실험실 전지 기록은 폭발성이 높은 위험물인 하이드라진(N₂H₄) 화합물을 공정에 써 일반적인 공정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양산화가 가능한 진공 공정을 써 이번 기록을 달성했다.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⑧불편한 어깨와 손 동작 돕는 재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동작을 할 수 있는 비결은 인체 동작에 적합하게 설정된 스프링댐퍼 시스템이다.
기존
재활로봇은 팔 관절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모터가 7개나 들어 있다. 만약 어깨 관절의 움직임만 구현하려면 모터가 서너 개 필요하다. 연구팀은 재활로봇의 핵심동작 구현을 위해 모터를 1개만 넣고, ... ...
‘미세먼지 주범’ 화력발전소 오염물질 배출농도 10분의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오염물질 배출농도를 입방미터당 0.5mg 수준까지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입방미터당 4~8mg 정도 배출되는 화력발전소 오염물질 양을 10분의 1 이상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오전 정부과천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용진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 ...
지구는 외핵운동, 목성은 바람 때문에 자기장 변화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주노가 보내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성의 자기장 활동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기존
연구와 달리 목성의 자기장이 지구처럼 영년변화를 겪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지구의 경우 영년변화는 맨틀이나 외핵의 운동때문에 발생한다. 목성의 경우, 위도에 평행하게 부는 바람인 ‘대상풍’으로 ... ...
이전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