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535건 검색되었습니다.
얀센 백신 맞은 3040 돌파감염 느는데 부스터샷 국내서도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말라리아에서는 증명된 사항”이라고 말했다. 알리 엘레베디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면역학과 교수도 “화이자는 부스터샷 임상시험에서 일부 예비 데이터를 공유했다”며 “실제로 질병으로 보호받는 정도를 불완전하게 보여주는 지표인 혈액 내 항체 수준만 ... ...
씨젠 '글로벌 의료사업 추진단' 출범…"분자진단 대중화 시동"
연합뉴스
l
2021.08.18
게 씨젠의 목표다. 글로벌 의료사업 추진단은 김종석 단장이 총괄한다. 김 단장은
미국
변호사,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차움 원장 등을 거쳐 씨젠에 입사했다. 씨젠은 임직원과 그 직계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씨젠부속의원'을 개소했다. 부속 의원은 서울 송파구 방이동 소재 ... ...
'똑똑한' 갑오징어 "나는 어디서 무엇을 먹었는지 기억한다"
연합뉴스
l
2021.08.18
기억력은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과
미국
해양생물실험실(MBL) 등의 연구진은 갑오징어(Sepia officinalis)를 대상으로 한 기억력 시험 결과를 영국 '왕립학회보 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발표했다. 시험 대상 갑오징어의 절반은 부화한 지 10~1 ... ...
[랩큐멘터리]가장 완벽한 화합물 공장, 세포로 새 물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도입한다면 다양한 물질을 만드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교수는
미국
노스웨스턴대 박사후연구원을 마치고 올해 2월 1일 포스텍 교수로 부임했다. 지금도 다양한 화합물 공장을 꿈꾸며 한창 실험실을 구축하고 있다. 플라스틱이나 합성섬유 같은 세상을 바꾼 화학물질을 새로 ... ...
"절대 다수 원자력인, 안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꼭 알리고 싶다" 박창규 전 원자력연구원장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맡아 초고온가스로를 이용한 수소 생산 기술 개발에 앞장섰다. 2006년
미국
이 원자력 수소 상용화를 위해 추진한 '차세대 원자로 계획(NGNP)'에 참여해 국산 기술을 수출하기도 했다. 2005∼2007년 한국원자력연구원장 시절에는 네덜란드 연구용 원자로 팔라스 입찰 참여를 결정해 국산 연구용 원자로의 ... ...
코로나19 신규확진자 1805명…정부 "이번 주 거리두기 다시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와 영국 옥스퍼드대가 개발한 백신 접종자는 1071만 1348명,
미국
의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개발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맞은 접종자는 1041만 4184명, 모더나가 개발한 mRNA 백신을 맞은 사람은 152만 5201명으로 나타났다.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 얀센의 한 번만 ... ...
'던힐'만든 전통의 담배회사 연초담배 판매 줄인다는데...전자담배는 과연 애연가 건강의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방식을 통해 헬스케어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는 계획도 밝혔다. BAT는 역시
미국
바이오테크기업인 켄터키바이오프로세싱을 인수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오라일리 총괄은 “공중보건 증진을 위해 연초형 일반담배에서 덜 유해한 대체재를 ... ...
"스페이스X만 편애해" 블루오리진 NASA 정식 제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보내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목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모니카 위트 NASA 대변인은
미국
기술매체 더버지에 “NASA 관계자들이 사건에 대한 세부사항을 검토하고 있다”며 “가능한 빨리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하에서 최대한 빠르게 안전하게 달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최신 정보를 ... ...
플라즈마 난류와 밀폐 이론 전문가 함택수 서울대 교수 '찬드라세카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대한 이론 연구로 난류와 밀폐 분야 이해를 높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함 교수는 1995년
미국
물리학회 석학회원으로 선출되고 2005년에는 카울상을 수상했다. 2011년 서울대 교수로 부임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국가핵융합연구소(현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선행기술연구센터장을 지내며 KSTAR ... ...
파이(π) 값 소숫점 아래 62조8000억 번째 자리까지 알아냈다…세계 기록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과학기술 분야에 활용되지만 실제로 수십 조 자릿수까지 필요한 것은 아니다. 2016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원주율은 소수점 아래 열다섯 번째 자리(3.141592653589793)까지만 이용하면 행성 간 탐사에 필요한 값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NASA는 지구에서 가장 먼 지점을 ... ...
이전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