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언어가 사람의 사고방식에도 영향을 미칠까. 2013년 미국경제학회지(AER)에 재미있는 연구가 발표됐다.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사람들의 저축성향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주도한 사람은 영국 예일대 경영대학원 행동경제학과 키스 첸 교수. 중국계 미국인인 그는 영어의 Uncle(삼촌)이라는 단 ...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18년 전이던 1997년 겨울, 전북 익산 미륵사지. 저는 야트막한 산 아래 벌판에서 외로운 탑 둘을 보며 몸을 떨고 있었습니다. 추위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1300년을 버텨온 석탑이 백전노장 같은 자태로 서 있었습니다. 세월이 도무지 가늠이 되지 않았습니다.미륵사지는 7세기 초반에 지어진 백제시대 ... ...
- [과학동아몰] 5월에는 하늘을 봐!과학동아 l2015년 05호
- ➊ 내셔널지오그래픽 90/1250 GOTO구경 90mm, 초점거리 1250mm인 굴절반사식 천체망원경. 같은 구경의 굴절망원경에 비해 크기가 작고, 삼각대 없이 바닥에 놓고 관측할 수 있어 여행에 제격이다. 컨트롤러에는 27만 개가 넘는 관측 데이터가 있어, 보고 싶은 천체를 자동으로 찾아준다.판매가 : 63만6000원➋ ... ...
- [Fun] 상대성이론에서 전율을 느껴본 적 있나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심장을 울렸던 음악 한 곡. 손에서 떨어지지 않던 소설 한 편. 가슴에 날아와 박혔던 드라마 속 명대사…. 인생에서 각자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 기억일 것이다. 그런데, 혹시 그만큼 내 마음을 움직였던 ‘과학’은 없을까?이 책의 저자 에른스트 페터 피셔는 자연과학을 이해하는 일이 문학과 예술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약 46억 년 전 이제 막 태어난 아기 지구는 아주 뜨거웠다. 수많은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했고, 이 충돌로 생긴 에너지 때문에 지표면의 온도는 수천ºC에 달했다. 암석이 녹을 정도로 뜨거웠으니, 물은 당연히 모두 증발해 우주 공간으로 사라졌을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지구는 표면의 절반 이상이 물 ... ...
- [과학뉴스] 나르시스트를 만든 것은 부모?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한 ‘나르시시즘’이란 말은 자신에게 과도한 애착을 보이는 현상이다. 이런 자기애는 유전적인 요인이나 성격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부모 탓도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오하이오주립대 브래드 부시맨 교수팀은 아이에 대한 부모의 과대평가가 아이의 나르시 ... ...
- [과학뉴스] 지진파가 밝힌 지구의 속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구의 속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과학뉴스포털 ‘피조그’는 미국 프린스턴대 지구과학과 제론 트럼프 교수팀이 지진파를 이용해 지구 전체 맨틀의 3차원 지도를 완성했다고 3월 16일 보도했다. 트럼프 교수팀은 전 세계 지진관측소에서 수집한 3000여 차례의 지진 관측 자료(규모 5.5 이상)를 바탕 ... ...
- [과학뉴스] 동아사이언스-한국과학창의재단, SW 교육 MOU 체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동아사이언스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소프트웨어(SW)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3월 18일 서울 강남구 선릉로 한국과학창의재단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2018년부터 정규 교육과정에 들어가는 SW 교육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치던 기존의 컴퓨터교육에서 벗어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예상 기온은 개화 시기를 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다. 예상 기온이 틀리면 예상 개화일도 틀릴 수밖에 없다. 지난해가 바로 그런 경우다. 2월 기온과 3월 예상 기온으로부터 벚꽃 개화 시기를 추정해 예보를 냈는데, 그 다음날부터 3월 내내 이상고온 현상이 계속됐다. 급기야 서울 벚꽃은 3월 28일 ...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희귀 생물자원의 보고 탄자니아우리나라에서 직선거리로 따져도 1만 km가 넘고, 비행기로 가면 카타르를 잠시 경유해 15시간이 걸리는 이곳 탄자니아에서 한국 과학자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타위리에 있는 ‘연구소재은행(TWRRU)’ 덕분이다. 연구소재은행은 국내 연구소재중앙센터(KNRRC)가 탄자니아 ... ...
이전7617627637647657667677687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