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땀을 많이 흘리는 건말과 사람뿐이다. 이 역시 오랜 시간 달리는데 적합하게 진화한
결과
다. 사실 땀을 내는 능력은 말이 한 수 위로 같은 피부 면적에서 사람이 흘리는 양의 5배나 된다. 경주를 마친 말의 몸은 땀으로 흠뻑 젖어 빗물이 흘러내리듯 땀이 줄줄 흐른다.그럼에도 체온조절 능력은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온다최근 여러 중국학자가 화베이평원에서 지하수 양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
결과
를 발표했다. 어떤 학자는 현재 지하수 양이 1980년대의 10%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일모작에서 이모작으로 농업생산량이 두 배로 늘어나면서 물이 그만큼 많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지하수 양이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박사 3년차까지는 도무지 이해를 하지 못했다. 지도교수님이 “이렇게 해보면 좋은
결과
얻을 것 같은데” 라고 가볍게 한마디 하신 것을 듣고나서 좋은 샘플을 만들면, 기쁘기보다 “도대체 왜 나는 이런 생각을 못할까?”하는 자책을 했다. 박사과정 5년차에 접어들면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 ...
과학특별시 열대해양탐사대 선발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모두 열대해양탐사대가 되기 충분했습니다. 결국 기존의 과학특별시 활동과 미션, 면접
결과
를 합산해 예정 선발 인원보다 2명 더 많은 총 4명의 합격자를 선발했습니다.합격된 4명의 친구들은 8월 18일부터 8박 9일간,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주에 위치한 한·남태평양해양연구센터로 ... ...
미스터리 보고서 만약 좀비가 있다면?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나타났다. 만약 잠복기가 없다면 손써 볼 새도 없이 단 4일 만에 인류는 멸망할 것이라는
결과
가 나온 것이다. 다행히 잠복기의 기간이 길다면 좀비를 단번에 없앨 약을 개발하는 것이 우선이다. 하지만 약 개발이 쉽지 않다면? 연구팀은 그럴 땐 ‘치고 빠지기 전략’을 써야 좀비의 공격을 막을 수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많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뇌로 들어가 시냅스가 튼튼하게 연결되는 걸 방해해요. 그
결과
정상적인 뇌 발달이 억제되는 거지요. 조장희(가천의과학대학교 뇌과학연구소 소장)좌뇌와 우뇌의 연결통로, 뇌량우리 뇌는 크게 왼쪽과 오른쪽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뇌량은 이 둘을 연결시켜 ... ...
가슴 뜨거웠던 7일간의 기록, 국제수학교육대회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영향을 끼친 공로로, 루이스 레드포드 교수는 수학과 관련된 기호학과 인류학을 연구한
결과
로 상을 받았다.펠릭스 클라인 메달과 한스 프로이덴탈 메달 수상자는 국제수학교육위원회 회장이 지명한 6명의 심사위원이 후보들에게 점수를 매겨 결정한다. 공정한 심사를 위해 6명의 심사위원에 대한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마셨는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여러 병 마셔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당연한
결과
다. 에너지 드링크의 주성분은 타우린과 카페인이다. 타우린은 아미노산으로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서 ‘피로 회복’이라는 말의 뜻을 잘 생각해 봐야 한다.타우린은 정맥을 통해 간으로 들어온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뼈대를 조그만 원형실린더 형태로 만든 뒤 단순한 평판에 달아 실험했다. 그
결과
날치처럼 아랫면에 부착했을 때 양력이 증가했으며 특히 평판 뒷단 아래에 붙였을 때 양력이 가장 크게 늘어났음을 확인했다.“날치 앞지느러미의 뼛살의 비밀은 항공기가 이착륙할 때 발생하는 지면 효과 ... ...
최초의 화가는 4만 800년 전?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인류 최초의 ‘화가’ 타이틀이 바뀌는 것일까. 기존 작품보다 약 4000년 앞선 4만 800년 전 조상이 후보가 됐다. 최초의 예술 작품은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가 ... 검증하기에 불분명한 점이 많아 논쟁거리도 잘 안 되는 편”이라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
는 6월 14일 ‘사이언스’에 실렸다 ... ...
이전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