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패러다임’으로 반도체 한계 돌파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한다는 요구가 거세지면서 빛의 파장보다 작은 소자에서 나타나는 빛의 특성이 주목받기
시작
했다. 나노 광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가 출현한 것이다. 빛의 특이한 현상을 보여주는 나노 구조의 대표적인 예로는 다른 특성의 유전체를 주기적으로 배열해 특정 파장의 빛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 ...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양자역학, 통신 시스템 및 신호처리 기술, 전자물리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연구를
시작
하기 전에 배경지식을 습득하기보다는 연구를 진행하면서 필요한 지식을 학습하고 새로운 현상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갖는 자세가 필요하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두려움이 없고 ... ...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온 200여 명의 기자들. 기자가 도착하자 곧이어 사회자가 멋진 목소리로 연설문을 읽기
시작
했다.“…유서 깊은 우리 과학언론상을 빛내 주신 세계의 과학 기자 여러분, 환영합니다. 올해는 특히 어린이 과학뉴스 분야 수상자로 멀리 한국에서 오신‘어린이과학동아’가 함께 해 주셔서 더 뜻 깊은 것 ... ...
동식물의 신기한 재생능력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놀라운 재생능력의 비밀은 줄기세포줄기세포는 자기 증식을 통해 여러 종류의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분화란 초기 단계의 세 ... 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② 물이 건조하지 않도록 잘 살펴주고, 혹시 물이 부패하기
시작
하면 소주를 반 컵(소주잔 기준)정도 넣어준다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광합성에 대한 연구는 1771년 영국의 화학자 조지프 프리스틀리가 행한 간단한 실험에서
시작
됐다. 프리스틀리는 밀폐된 용기 안에 있는 식물에서 어떤 물질(나중에 산소로 밝혀짐)이 나와 공기가 차단돼 있는데도 초가 계속 탄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후 화학적 연구가 지속되면서 광합성에는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도입했다. 점차 자동차에 전자부품이 많이 쓰이면서 자동차가 전자파에 민감해지기
시작
했기 때문이다. 1980년대 이전에 생산된 자동차는 ‘아날로그 자동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자동차의 엔진은 물론 제동장치 등 대부분 장치가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된다. 자동차의 전자 부품에서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번개는 ‘이상한’ 현상으로만 취급받다가 과학계에서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기
시작
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연구단이 개발한 MTEL은 우주에서 지구를 내려다보며 메가번개를 추적한다. MTEL이 메가번개를 잡아내는 비결은 망원경에서 넓은 영역을 감시하는 부분과 메가번개가 발생했을 때 ... ...
[수학]복소평면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세 평면을 기초도형으로 한 직교좌표계를 도입한다. 한편 평면상에서 한 점 O에서
시작
되는 하나의 반직선(예를 들어 xy좌표에서 x축)을 기준으로 하여 각 점의 좌표를 그 반직선으로부터의 각도와 점 O로부터의 거리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를 극좌표계라고 부른다. 이 때 O를 극, 반직선을 시초선이라 ... ...
몸도 마음도 튼튼해지는~건강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처방해서 건강을 관리하는 데 목적이 있어요. 새 건강평가는 올해 초등학교를
시작
으로 점차 중·고교로 확대할 예정이에요. 무엇을 어떻게 검사하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근력/ 근지구력근육의 힘은 순간적인 큰 힘을 내는‘근력’과, 오랫동안 힘을 쓰면서 버티는‘근지구력’으로 나눌 수 ... ...
000만 잘하면 수학을 잘한다? - 수학 완전 정복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할 장소를 짝지을 수 있다는 뜻이거든.수학에서 일대일대응은 수를 짝짓는 것에서부터
시작
해. 옛날에는 숫자가 없었기 때문에 수를 나타내기 위해 돌멩이나 나뭇가지 등의 물체나 몸을 이용했어. 목동은 양의 수를 세기 위해 양이 한 마리씩 우리에서 나갈 때마다 돌멩이를 하나씩 우리 밖에 ... ...
이전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