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수축을 멈추고 안정된 구조를 회복하게 된다. 즉 M<1.4M⊙인 경우에는 백색왜성이라는
작은
별이 된다. 여기서 한계값인 1.4M⊙를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찬드라세카르(Chandrasekhar)의 한계라고 부른다 찬드라세카르는 인도 태생의 미국 천문학자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백색왜성은 마치 서서히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숨쉴 수 있지만 제법 좋은 폐를 가지고 있으며 방이 세개 있는 심장이 있어 많은
작은
크기의 포유동물보다도 오래 살 수 있다.양서류의 역사와 우주 속의 올챙이의 경이로움을 살펴 보는 동안 필자는 시간이 흐르는 모래속에 발자국을 남긴 이첩기시절의 양서류를 생각하게 된다. 이 모래는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모양의 집(그림)이 만들어진다. 머리쪽에서 밀려 들어오는 모래를 먹는데 함께 들어오는
작은
동물도 부수적으로 얻게 된다. 때때로 몸을 후진하여 항문을 올려 불소화 물과 모래를 굴 가장자리에 배출한다. 이 똥의 덩어리가 화산처럼 쌓이고 반대쪽 머리가 향한 구멍은 함몰돼 들어가면서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대한 해답이 나왔다. 기후가 한냉해 지면서 앞서 나온 아키옵테릭스와 같이
작은
동물은 깃털을 절연물로 사용한 반면 깃털이 없는 공룡들은 체구를 크게 함으로써 체온을 훨씬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점차 한랭해지는 환경에 새로 적응해 살아남는 방편으로써 점차 몸을 크게 변화시킨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십수번 반복하여 만드는 것인 데, 1㎜의 1천분의 1보다도 더
작은
속에 만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초첨단의 기술들이 필요하다.기가세대를 여는 리소그래피 기술G급 메모리를 구성하는 메모리셀의 크기는 선폭이 0.15u이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이것은 머리카락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염색체들중 가장
작은
것개미 몸체모양인 염색체 21은 인체게놈 내의 염색체들중 가장
작은
것인데, 반복유전 정보가 있는 위 부분의 염색체 21p와 신경계 질환 및 많은 관련유전자가 존재하는 아래부분의 염색체 21q로 구성돼 있다.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노력으로 5백명에 한명 정도의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한다.그런데 물리학 이론에 의하면 파장을 짧게 한다는 것은 그 광선을 구성하는
작은
알갱이(입자)들이 에너지를 크게 하는 것을 말한다. 즉 광학 현미경보다 더 큰 분해능을 얻기 위해서 광선을 구성하고 있는 광자(photon)보다 더욱 많은 에너지를 지닐 수 있는 새로운 입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 ...
3 우주 이용한 첨단산업에 앞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로켓을 조립하여 발사한다.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로켓의 제작 및 조립기술이라기 보다
작은
부품의 설계에서부터 전체 로켓의 완성까지 모든 것이 완벽하게 서로 일치해야만 하는 유럽 우주기술의 정교함을 보여주는 것이다.아리안 로켓은 유럽 우주기술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작으면서도 ... ...
촉매 건조제 이온교환제로 유망한 신비의 「끓는돌」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MTG공정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는 큰 분자를 잘라서 작게 만드는 과정이고 후자는
작은
분자를 붙여 크게 만드는 것으로 촉매의 효용성을 잘 보여준다. 그 밖에도 제올라이트를 촉매로 사용하는 화학공정은 수두룩하다. 센물을 단물로 바꾸기도처음 발견된 제올라이트는 천연의 것으로 단지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작은
전자장(電子場)의 파도의 봉우리가 생긴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한 에너지의
작은
봉우리는 마치 물결이 호수의 수면을 지나가듯이, 빈 공간(場)속을 진동하면서 퍼져 나간다. 따라서 우리가 전자라고 부르는 것은 단지 빈 공간(즉 힘을 가진 전자장)의 파동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현대의 ... ...
이전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