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계단을 뚫고 자라난 괭이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골목의 시멘트 계단. 그 삭막한 공간에서도 찬란한 생명의 꽃을 피우는 존재가 있으니
바로
‘괭이밥’이랍니다. 이 여리디 여린 식물이 어떻게 도심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그것은 괭이밥의 씨가 휴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에요. 휴면성이란 지금 싹을 틔우면 살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 ...
'외계인' 섬유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위조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캐너를 사용하면 섬유 제품 안에 들어있는 정보를
바로
판독할 수 있다.하인스트로자 교수는 “이 섬유는 분자 바코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섬유 속 입자들의 위치나 분포, 서명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며 “기존의 직물 제조설비를 이용해 생산할 수 있는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바로
다운로드할 수 없을 정도로 멀티미디어 파일이 대용량이기 때문이다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면 파일이 모두 전송되기 전에라도 사용자의 브라우저 또는 플러그인이 데이터를 구현해준다일반적으로 ... ...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소비’였다.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이 자리 잡으면서 ‘빨리’ ‘동시에’ ‘
바로바로
’ 같은 실시간 소비가 늘었다는 것. 이제 리얼타임은 디지털 시대의 핵심 코드가 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순간이 세상을 지배한다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2. 번개처럼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inflation)이 일어난 시기다. 인플레이션 이론에 따르면 빅뱅 후 플랑크 시간이 지난
바로
뒤에 우주가 가속적으로 부풀어 그 크기가 찰나보다 짧은 순간에 10${}^{30}$배 이상 커졌다고 한다.우주 초기에는 물질과 빛이 뒤엉켜 있어 빛이 자유롭게 다닐 수가 없었다. 하지만 빅뱅 후 30만년이 지나면 비로소 ... ...
전력선통신(PLC)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전력선을 통해 정보를 실어 나르는 통신기술이다. 집안의 콘센트에 통신기기를 꽂으면
바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가전기기를 켜고 끄는 홈네트워크는 물론 원격 검침, 광대역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제3의 유선통신 기술로 불리는 꿈의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이 저기압은 다음날 허리케인으로 ‘업그레이드’됐다. 이것이
바로
카트리나. 26일 미시시피와 루이지애나주로 방향을 잡은 카트리나는 다음날 세력을 확장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카트리나는 허리케인 세기를 나타내는 1~5등급의 중간인 3등급에 불과했다.카트리나는 풍속이 ... ...
디지털을 노래하는 스파이더맨 - (주)레인콤 대표이사 양덕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친구 결혼식에 갔다. 삼성반도체(현재 삼성전자)에서 사람을 뽑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바로
지원해 20년을 그곳에서 근무했다. 한국 반도체의 탄생부터 번영까지 역사를 함께 한 셈이었다. 나올 무렵에는 해외영업 담당 임원까지 올라갔다.“임원 되고서 자유롭게 살고 싶은 욕구가 강해졌어요. ... ...
월식도 주기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그럼 이번 2005년 10월 17일 월식의 1사로스주기 이전이었던 지난 월식은 언제였을까?
바로
1987년 10월 7일이다. 이날 과연 월식이 있었을까?1987년 10월 7일에는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가는 반영(半影)식만이 일어났다. 또 대낮인 13시(식심시각)에 대서양 부근에서 일어났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볼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재·현·실·험레일리와 램지가 아르곤을 발견했지만 그 결과는
바로
학계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아르곤의 밀도가 당시 알려진 기체의 밀도보다 상당히 컸기 때문에 화학자들은 그렇게 무거운 기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1894년 옥스퍼드에서 열린 ... ...
이전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