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억 심었다 지웠다…영화가 현실로
2015.04.03
전기충격을 가했을 때는 편도체 부위가 반응을 보였다. 연구진이 쥐의 뇌에서 이들 두
곳
을 동시에 자극하자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둥근 방을 돌아다닐 때도 쥐가 공포심을 나타냈다. 둥근 방이 안전하다는 기억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네모난 방의 두려운 기억이 삽입된 것이다. 이노구치 교수는 ... ...
우주 저 먼
곳
, 원시별의 진화를 생중계로 보다
2015.04.03
약 4000광년 떨어진 우주 공간. 무거운 별이 많이 태어나는 ‘W75N’이라는 지역이 있다. 이
곳
에서 태어난 지 수천 년밖에 안 된 어린별 ‘W75N-VLA 2’가 1996년 발견됐다. 미국 국립전파천문대(NRAO)가 뉴멕시코 주에 전파망원경 27대를 ‘Y’자로 배치한 뒤 하나의 우주망원경처럼 사용하는 ‘VLA(Very Large ... ...
“오늘 내가 아낀 전기세는 얼마?”
2015.04.01
가지고 이동하면 비콘과 휴대전화가 신호를 주고받고 사용자 위치를 파악해 불필요한
곳
의 전기를 절약하는 형태다. 또 콘센트마다 개인별 전력사용량을 측정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UN) 칩이 탑재됐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면 계단 인근 신호기가 개인의 ... ...
‘뉴요커 개미’는 정크푸드 좋아해
2015.04.01
나타났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팀은 맨해튼 공원과 중심가 도로 등 12
곳
에서 21종의 개미 100마리를 모아 이들의 몸속 동위원소를 분석했다. 동물은 먹은 음식의 일부로 몸을 구성하기 때문에 먹이 속 성분을 몸에서도 검출할 수 있다. 동위원소 중 탄소13의 경우는 옥수수나 사탕수수 ... ...
이슬 머금었다 짜내는 동자꽃의 지혜
2015.03.31
지닌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들 미세한 털을 모방한 대면적 표면을 만들면 물이 부족한
곳
에 대규모 무동력 이슬 수집장치 등의 적정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야마나가 교수는 “건조한 사막에서도 이슬을 흡수하며 생존하는 자연의 지혜를 이용하면 향후 새로운 수자원을 확보할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연마가 끝난 유리 위에 얇은 금속막을 입히거나 완성된 반사경의 변화를 시험하는
곳
이지요. 금속 막을 입힐 유리면을 아래로 향하게 진공 챔버 안에 넣고, 같이 넣은 고체 상태의 금속에 열을 가해요. 진공 챔버 안은 기압이 0인 상태이기 때문에, 적은 열로도 금속이 금세 기체로 변한다고 해요. 이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접종시키기도 한다. 분자요리는 아직 시작단계이고 분자요리를 제공하는 식당도 몇
곳
없지만 이런 시도를 하는 요리사들은 과학자라고 저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 와인 전문가도 틀릴 수밖에 없는 이유 몇 달 전 질소충전과자봉지로 만든 배를 타고 한강을 건너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 ...
“빅뱅 이전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2015.03.29
있다. 저자는 딱딱하고 어려운 것처럼 느껴지는 화학이 알고 보면 일상생활에 없는
곳
이 없을 정도로 ‘세상을 움직이고 있다’고 말한다. 또 화학제품 사용이 환경과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언급하고, 화학 산업이 이런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이해 어떤 노력을 해왔으며, 또 앞으로 어떻게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충전하는 주요 경로는 지표면의 갈라진 틈과 투과성이 높은 지층이다. 과학자들은 이런
곳
을 통해 연간 15조t 이상의 물이 지하수로 다시 돌아간다고 추측하고 있다. 인류가 한 해 동안 사용하는 신선한 물의 30% 정도로 엄청난 양이다. 하지만 이 과정은 기후변화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우선 ... ...
작은 불씨가 숲을 태울 확률은?
수학동아
l
2015.03.26
입는 범위가 컸다. 그런데 p가 1/2 미만일 때는 불이 어느 정도 번지다 꺼졌다. 즉, 불난
곳
주위에 나무가 있는 육각형 3개 미만이면 불이 숲 전체를 태우지 않는다는 소리다. 반면 p값이 1/2 이상일 때는 불이 산 전체로 퍼져갔다. p값이 1에 가까울수록 불이 더 빨리 번지고, 더 많은 나무가 불타 ... ...
이전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