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새로운 장을 열어놓는 계기가 될 것이다.최근 미국과 북경에서 우리의 연구에 대해
발표
할 기회가 있었다. 경락의 실체 연구라는 것만으로도 많은 과학자와 한의사들이 관심을 표명했고, 격려와 동시에 여러가지 연구 방법과 조언을 주었다. 본 연구실의 현재까지 연구결과는‘해부학저널’(Journal of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파퓰러 사이언스’ 10월호는 과학자들이 직접 뽑은 과학계에서 가장 힘든 직업 18종을
발표
했다. 1천명이 넘는 과학자들을 설문조사한 결과는 일반인들의 상상을 뛰어넘는다. ‘음지에서 양지를 지향한다’는 정보기관원들처럼 인류를 위해 험한 일을 마다 않는 과학자들을 만나보자. 미국 ... ...
아인슈타인 우주로의 시간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구체화시켜서 ‘과거를 여행하는 기계’를 고안해낸 것은 소설가 조지 웰스였다.1895년
발표
된 웰스의 소설 ‘타임머신’은 광속보다 빠른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물체를 이용해 시간여행을 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소설의 성공으로 타임머신에 관한 논쟁은 현실로 무대를 옮겨, 자신이 과거로 ... ...
물 이용한 새로운 발전법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성공했다고 ‘저널 오브 마이크로미케닉스 앤드 마이크로엔지니어링’ 10월 20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물이 미세관을 흐를 때 마찰에 의해 양전하(H+)와 음전하(OH-)로 분리되는 현상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지름이 고작 10μm(1μm=${10}^{-6}$m)로 머리카락보다 약 10배나 가는 초미세관으로 전지를 ... ...
왕따 당하면 두뇌는 육체적 고통 느낀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점점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국무총리산하 청소년보호위원회가 지난 8월 20일
발표
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 10명중 1명이 왕따를 당하고 있다. 31.5%의 학생이 집단 따돌림에 동참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했고, 42.5%의 학생은 집단 따돌림을 받는데는 당하는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10월 21일 맨체스터 문학 및 철학 협회에서 자신을 세계적인 과학자로 만들어준 원자설을
발표
했다. 그는 다양한 원소들은 각자 같은 모양과 무게를 가진 원자이며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다는 원자가설을 세웠다. 또한 원자들이 1:1, 1:2, 1:3과 같은 일정한 비례로 결합한다는 배수비례의 법칙도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나선팔 형태로 이전 관측자들이 언급한 것보다 약 두배에 달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고
발표
했다.오늘날 M33은 북반구 하늘에서 가장 훌륭한 나선팔을 보여주는 은하로 알려져 있다. 시선 방향에 대해 다소 비스듬히 기울어져 보여지는 안드로메다은하와 달리 이 은하는 우리의 시선 방향과 수직으로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잠시 휴식기에 들어갔다.그후 본격적인 유인우주계획은 비교적 최근인 1992년에
발표
됐다. 1994년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러시아를 방문해 중국과 러시아 간의 유인우주분야 협력의 기본 틀에 합의했고, 이에 따라 1995년 양국 사이에 우주분야 협력서가 체결됐다. 이후 러시아의 유인우주기술이 ... ...
2 아시아, 달을 향한 꿈을 쏘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성공으로 자존심에 상처입은 미국이 유인 탐사를 비롯한 종합적인 우주 탐사 계획을
발표
했던 것이다. 미국은 1969년 인류가 달에 첫발을 내딛게 된 뒤 1972년까지 달탐사를 주도해 나갔다.그러나 미국과 옛 소련의 이와 같은 각축전은 얼마가지 못했다. 달의 신비가 벗겨지자 사람들의 관심이 태양계 ... ...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걸음마를 막 시작한 단계다. 김 교수는“전세계적으로도 이와 관련된 연구논문이 거의
발표
되지 않은 아주 새로운 연구분야다”며“신경생리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일인만큼 어려움도 만만치 않다”고 말한다.그러면서도 김 교수는 생명현상을 이해하려는 과학자라면 이처럼 새로운 영역에 ... ...
이전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