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크기가 너무 커져서 지금 쓰는 디지털 방식의 CPU처럼 작은 크기로 광CPU를 만드는 일은
사실
상 불가능하다. 현재 CPU에 쓰이는 트랜지스터 1개의 크기는 50nm 수준인데 비해 기존 광논리소자로 트랜지스터를 만들 경우 1개 크기가 100만 배 정도 큰 mm 수준에 이르기 때문이다.함 교수는 “우리 연구단이 ... ...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년에는 스핀90 단백질이 뇌 속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가시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
을 밝혀 생명과학분야 학술지인 ‘엠보 저널’에 발표했다.수상돌기가시는 나무줄기에 난 가시처럼 수상돌기 측면에 돌출한 구조다. 수상돌기가 다른 뉴런의 축색돌기와 만나 시냅스를 형성하려면 ... ...
2. 재료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용기를 만든다면 원기둥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됐어요.
사실
원기둥보다 재료가 더 적게 드는 모양이 있답니다. 바로 공 모양의 용기죠. 하지만 공 모양의 용기는 잘 구르기 때문에 불안정하고 뚜껑도 만들기 어려워요. 실용성이 떨어지는 공 모양의 용기 대신에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결과 기원전 585년 5월 28일에 현재의 터키에서 개기일식이 일어났음을 밝혀냈다. 기록이
사실
이라면 기원전 585년의 일식이 바로 탈레스가 예측한 일식일 가능성이 높다. 최소공배수 구하는 법 최소공배수는 두 개의 정수가 있을 때 둘 모두의 배수가 되는 최소의 자연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4와 5의 ... ...
χ의 대활약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안쪽 각도의 합, 즉 내각의 합 x를 구한다고 해 봐. 삼각형의 세 내각의 합이 180˚라는
사실
은 이미 주어져 있어. 그림에서 보듯이 한 꼭지점에서 선을 그어 삼각형을 나눌 때, 사각형은 2개의 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고, 오각형은 3개의 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어. 그러면 사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2=36 ... ...
세계일주를 함께 할 조수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식은 커피를 놓고 잡지를 읽던 허풍은 갑자기 눈이 휘둥그레진다."어! 이건! 이 책이
사실
이었다고? 믿을 수가 없군. 내가 만약 필리어스 포그처럼 세계일주를 하면…. 으하하~! 난 경성 최고의 유명인사가 될 수 있어. 조선 최초의 세계일주 여행가가 되는 거야!"경성 최고의 잡지인 '선데이 경성'에 ... ...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다른 분야에 적용하는 능력이 생긴다. 응용력과 논리력은 위기상황에 대처하는 힘이다.
사실
보안 분야에서도 수학에서 배우는 암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학교나 연구소와 달리 시장에서는 암호 알고리즘을 직접 개발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접 개발을 하지 않아도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로마인이 쓰던 라틴어에서 나온 것이 많다. 우리말의 단어 중 많은 수가 한자라는
사실
과 비슷하다. 영어와 라틴어, 그리스어의 관계는 우리말과 한자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수학’이라는 단어 역시 뿌리를 찾아 거슬러 올라가면 그리스어를 만날 수 있다. 수학을 뜻하는 영어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문장은 '과학자는 아인슈타인이다'입니다. 이 두 문장의 뜻을 비교해 보면 서로 다르다는
사실
을 알 수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과학자라고 해서 모든 과학자가 아인슈타인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지요.어떤 문장이 참이라고 해도 그 역의 문장이 꼭 참인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내가 생각하는 것을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하지만 고고학자들을 더욱 놀라게 한 것은 이 국수 재료가 밀이 아닌 기장이라는
사실
이다. 기장은 밀보다 경작한 지 얼마 안 된 식물이다. 따라서 학자들은 이보다 더 오래 전에 밀로 만든 국수 형태의 음식이 생겼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가늘고 기다란 형태의 음식이 ... ...
이전
756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