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스페셜
"
이름
"(으)로 총 1,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양 은’으로 둔갑한 알루미늄
2020.02.05
은 그렇게 등장했다. 1970년대의 아파트에서 ‘알루미늄 새시’를 쓰면서 알루미늄이 제
이름
을 되찾게 됐다. 그러나 주방용기에서는 아직도 양은이 대세로 남아있는 모양이다. 알루미늄은 지각의 8%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경금속이다. 대부분 ‘보크사이트’(철반석)라는 광석 속에 산소와 ...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분리주 왜 필요한가…"진단 치료 연구에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2.0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질본은 분리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름
은 ‘BetaCoV/Korea/KCDC03/2020’으로 붙였다.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거나 치료할 기술을 확보하려면 바이러스 분리주가 필수인 만큼 관계부처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 ...
"신종 코로나, 고의적으로 만들었나" 의사SNS 달군 印논문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2020.02.03
자연상에서도 이종 바이러스끼리 유전자 재조합 일어나 국내 전문가들 이와 관련해
이름
을 언론에 노출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HIV가 일부 유전적으로 겹치는 일이 자연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만으로 두 바이러스를 인위적으로 ... ...
[잠깐과학]피자맛 수호자 '피자 세이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2.01
수많은 피자를 구원한 이 발명품에는 ‘피자 보호기’라는 뜻의 피자 세이버란
이름
이 붙었습니다. 발명이 언제나 크고 대단하고 거창한 물건일 필요는 없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3호(2.1발행) 이달의 과학사, '피자 세이버' ... ...
[표지로 읽는 과학]진핵생물 진화 밝힐 고세균 배양 성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진핵 생물의 가장 가까운 조상으로 여겨진다. 연구팀은 배양한 아스가르드 고세균의
이름
을 ‘칸디다투스 프로메테오알캐움 신트로피움(Candidatus Prometheoarchaeum syntrophicum)’으로 명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고세균의 성장속도는 매우 느리다. 2배 정도 증식에 14~25일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 ...
[팩트체크]곡물로 만든 고기는 진짜 고기 맛날까
과학동아
l
2020.01.25
갖춘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같은 유연한 채식도 있습니다. ‘비건’ ‘락토’ 등의
이름
이 붙은 식품의 경우 이런 기준에 맞춰 성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영양학적인 관점에서 비건 콩불구이와 언리미트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두 제품 모두 가장 높은 단계인 비건 채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2020.01.21
헷갈리지 않을까. 코로나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중증 호흡기질환에 ‘코로나’란
이름
을 붙여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표면의 특정 단백질을 인식해 달라붙어야 세포 안으로 침투할 수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 세포 표면의 ACE2 단백질(위 녹색)과 결합할 ... ...
외계행성탐색 망원경이 찍은 인터스텔라 혜성 '보리소프' 모습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이후 국제천문연맹(IAU)이 보리소프가 외계에서 왔다는 것을 인정해 ‘2I/보리소프’라는
이름
을 붙였다. 태양계 밖 소행성과 혜성의 존재는 이론으로만 예측돼왔는데 2017년 하와이대 연구팀이 성간천체 ‘오무아무아’를 처음 관측한 이후 이번 발견으로 그 존재가 확실해졌다. 보리소프는 타원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메이는 지난 2016년 9월 프레디 머큐리가 세상을 떠난 1991년 발견된 ‘소행성 17473’의
이름
을 ‘소행성 17473 프레디 머큐리’로 변경하는 역할도 주도했다. 국제천문연맹(IAU)에 변경을 요청했고 IAU는 이를 받아들였다. 메이는 2008년부터 2013년 영국 존무어스대 총장도 역임하기도 했다.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카렐리아라 불리는 지역이 있다. 러시아에 속하는 지역에는 카렐리아 공화국이라
이름
붙은 자치공화국도 있는데, 지금은 러시아인이 다수다. 하지만 6만 명의 카렐인이 살고 있고, 핀란드에도 카렐인이 약 1만 명 정도 살고 있다. 카렐인은 핀족에 가깝지만 자신만의 언어를 가진 독립적인 민족이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