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쉽게 섭취가 가능하다. 아직
세포
실험 단계이기에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상기도의 상피
세포
에 고농도로 투약할 수도 있어 약물로 개발됐을 때 무증상환자나 초기 환자에게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연구진은 현재 동물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동물실험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온다면 ... ...
코로나 변이에서 면역
세포
억제 단백질 발견...화이자 모더나 백신 효능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방해하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접종중인 mRNA 백신은 펩타이드에 대한 T
세포
의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표적 펩타이드 중 일부가 변이를 일으키면 mRNA 백신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향후 서로 다른 HLA 유형을 지닌 개인간 ... ...
마스크 쓰고 운동해도 호흡곤란 위험 없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예방할 수 있다. 다만 격렬한 운동을 하며 마스크 착용을 할 경우, 호흡곤란이나 조직
세포
의 산소가 비정상적으로 부족한 저산소혈증 등의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연구팀은 운동 중 마스크 착용이 안전한 지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작용에 상처까지 치료하는 대식
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포함된 단백질의 발현을 막으면 유착이 생길 확률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GATA6+대식
세포
가 복강 내 상처 부위를 봉한하는 과정과 유착이 생기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 유착은 분리돼 있어야 할 두 조직이 연결되는 현상으로 외과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불임, 만성 통증 등을 ... ...
워싱턴 의대 연구진 "기존 백신으론 변이 코로나 막기 어렵다"
연합뉴스
l
2021.03.06
나타났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 수용체와 결합한 뒤 바이러스 입자의 외막과 숙주
세포
막이 융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픽. 저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 내용 등을 토대로 재구성한 컴퓨터 그래픽이다. [미 보스턴 아동병원 Jonathan Khao 박사 등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변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반면 복잡해질 여지(냄비의 가운데처럼)는 무한히 열려 있는 셈이었다. 그 결과, 단
세포
생물들보다 훨씬 복잡한 공룡이나 인간 같은 생명체도 지구에 출현하게 되었다. 불행히도 인간은 세상만물을 자기중심적으로만 이해하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은 생물종의 진화라는 말을 처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논문에 따르면 PER 진동자의 핵심부품의 하나인 Bmal1 유전자가 고장난 생쥐의 피부 섬유아
세포
와 간 조직에서 많은 유전자가 여전히 24시간 주기 발현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mal1 변이 생쥐의 행동은 주기성을 잃지만, 분자(유전자 산물) 차원에서는 많은 경우 여전히 주기성이 유지되고 ... ...
[랩큐멘터리]밝혀지지 않은 생명현상의 미스테리를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중이다. 최근에는
세포
들이 물질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서로를 연결하는 얇은 관인 ‘
세포
관’이 형성되는 과정을 밝히기 위한 연구도 하고 있다. 생명현상 연구는 목적에 따라 생명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를 밝히는 연구와 과정을 밝히는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과정을 밝히는 연구는 ... ...
[팩트체크]백신 맞으면 유전자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mRNA을 이용한 백신 개념은 이미 1990년대에 나왔다. 당시 과학자들은 생쥐 실험을 통해
세포
에 RNA나 DNA 같은 유전자를 주입하면 질병과 싸울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하지만 mRNA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의 양이 너무 적고 인체에서 너무 빨리 분해되는 등의 기술적 한계가 존재했다. 2000년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코로나 백신 접종 경험기
2021.02.27
안에 사라진다고 한다. 1차 접종 때보다 2차 접종 때 좀더 위와 같은 부작용(사실 면역
세포
들이 열심히 일한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작용’의 증거일지도 모르겠다)이 많이 나타난다고 했다. 하지만 역시 대부분 며칠 안에 사라진다고 한다. 접종 후에는 바로 집에 가는 것이 아니라 15분 정도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