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스페셜
"
모든
"(으)로 총 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수 있다면 보다 복잡한 문제들이 생긴다. 원자가 쪼개지지 않는 자연의 최소단위이면
모든
논의는 원자에서 끝난다. 그 하부단위로 내려갈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원자가 쪼개질 수 있고 그 안에 원자 자체보다 훨씬 더 작은 구성요소가 숨어있다면 원자는 하나의 구조물이 되는 것이고 그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5) 우주발사체 전자장비 이어주는 신경망을 책임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2
연결된다. 전선과 커넥터의 무게만 총 310kg에 이른다. 카프마이크로는 누리호 속
모든
커넥터와 전선을 각 단에 각각 들어갈 와이어 하네스로 만들어 납품하고 있다. 이날 공장에서는 누리호의 세 번째 비행모델-3(FM-3)에 들어갈 와이어 하네스 제작이 한창이었다. 작업자들은 1단에 들어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상온 초전도체 시대 열릴까
2021.09.01
이들이 만든, 어떤 물질의 초전도 임계온도를 예측하는 식에 따르면 당시까지 알려진
모든
물질의 임계온도 상한선은 25K로 나온다. 실제 1980년대 중반까지 기록은 23K였다. 그러다 1986년 큐프레이트(cuprate)라고 불리는 구리 함유 화합물(La-Ba-Cu-O)에서 초전도 임계온도 35K를 구현하는 데 성공하면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시효가 끝나가는 가습기 살균제 참사
2021.09.01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코로나 완치자, 백신접종은?…"경증·무증상자 2차까지 해야"
연합뉴스
l
2021.08.31
교수는 "이 연구는 델타 변이가 등장하기 전에 수행됐지만, 백신의 예방 효과 메커니즘은
모든
변종에서 동일하다"며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효과가 시간이 흐르면서 변이 전 원래 바이러스보다 많이 약해지지만, 여전히 우수한 보호 효과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 ...
교실 공기질을 개선해 코로나19 전파를 줄이는 5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1.08.31
둔 채 교실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제공 내달 6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지역은
모든
학교의 전면 등교가 허용된다. 4단계 지역은 초중학교의 경우 전교생의 3분의 2까지 등교가 가능하다. 유치원과 고등학교, 전교생 400명 이하 소규모 학교, 농산어촌 학교는 거리두기와 관계없이 등교할 수 있다. ... ...
델타변이가 한 교실을 붕괴시키는 방법…마스크 벗고 수업한 초등교사 학급 절반 감염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사례가 보고됐다. 감염 학생들은 모두 마스크를 착용했고 사회적 거리두기도 준수했다.
모든
교실에 공기 정화기를 설치하고 문과 창문도 열어두는 등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지침을 모두 따랐다. 다만 학생들을 감염시킨 교사는 백신을 맞지 않았다. 감염 학생의 대부분은 교사의 책상과 ... ...
美 18개 정보기관들 "코로나19, 생물학 무기는 아냐"…연구소 유출설 입장 기관마다 엇갈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우한의 바이러스연구소 유출설과 자연 발생설을 두고 입장이 크게 갈렸다. 보고서는 “
모든
정보기관들이 두 설 모두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양쪽으로 나뉜 양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4개 정보기관과 미국 국가정보위원회는 코로나19가 동물에 의한 자연적 노출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 단백질 전체로 분석 대상 넓히는 인공지능 3D구조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8.28
이뤄진 사람의 형상을 실었다. 단백질은 생명을 이루는 필수 물질로 저마다 기능을 하며
모든
생명 현상에 관여한다. 단백질의 기능을 해제하는 열쇠는 단백질의 3차원(3D) 구조에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실험을 통해서 인간 단백질의 17%만 그 구조를 알아낼 수 있었다. 하지만 구글 딥마인드의 ... ...
[인터뷰]"시민이 행복하지 않은 도시는 사라진다" 뇌 공학자가 그린 도시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08.28
운영돼야 시민의 만족도도 높아지고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다. 도시는 현재
모든
사양이 피크(정점)에 맞춰져 있다. 에너지도 가장 많이 소비하는 피크타임을 감당하기 위해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이런 도시에서는 에너지 전환도 어렵다. 남는 시간대의 에너지를 다른 데 쓰도록 유도하고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