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33건 검색되었습니다.
멍게에서 추출한 항암 치료제 원리 찾았다…"암세포 DNA 복구 차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논문의 제1 저자인 손국 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 박사후연구원은 "트라벡테딘이 암세포에
작용
하는 메커니즘을 깊이 이해할 토대를 마련했다"며 "특정 암세포 유형에 대해 트라벡테딘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꽃 피우는 식물, 개미 멸종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결론이다. 연구팀은 "속씨식물이 개미의 종 다양화를 촉진하고 멸종을 막는 완충
작용
을 했다"며 "속씨식물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개미가 존재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 ...
고형암 세포치료제 미국서 첫 치료 개시…CAR-T 치료제 한계 넘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위험요소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특성이 중요하지는 않지만 특정한 환자에게는 위험하게
작용
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제약업계에선 암타그비처럼 TIL을 활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움직임이 활발하다. 최근 자궁경부암과 폐암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는 등 앞으로 더 많은 암 치료에 ... ...
양자 컴퓨터로 양자 자성체 극단 특성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극단적 이방성이란 3차원 중 특정 방향이 다른 방향 대비 1000배 이상 강하게 상호
작용
하는 특성이다. 연구를 주도한 안 교수는 "이번 연구로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는 물성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재욱 KAIST 물리학과 교수. KAIST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위한 연구가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다른 멸종 동인과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해수에 이산화탄소가 용해돼 산성도가 강해지는 해양산성화나 해수의 산소 고갈은 기후변화 외 생물종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원인으로 지목된다. ... ...
'초콜릿의 역사'…아마존 카카오, 언제 어떻게 중남미로 퍼졌나
연합뉴스
l
2024.03.08
떨어진 카카오나무 사이에 유전자 혼합이 일어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
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유전적 역사와 다양성에 대한 이해는 현대 카카오 품종이 직면한 질병과 기후변화 등 위협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출처 : Scientific Reports, Claire Lanaud et al., ... ...
영화 '듄' 모래벌레 닮은 실제 벌레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대폭발은 벌레들이 퇴적물을 파고들어 해양 생태계가 뒤바뀐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작용
했다. 네이처는 “듄의 모래벌레로부터 연상되는 일부 성질이 바다에서 발견되는 낯선 유기체와 닮아 있다”면서 “듄을 계기로 이러한 동물에게 알게 되는 것은 굉장하다”고 전했다 ... ...
주한영국대사관, 세계 여성의 날 맞아 '여성과학자 기후변화 간담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연구를 소개했다. 한국 공공장소에서 채취한 박테리아는 온도와 같은 요인에 상호
작용
하는 만큼 기후변화가 박테리아 내성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콜린 크룩스 주한 영국대사는 "기후변화 문제는 사회 전체의 대응이 필요하다"며 "기후 행동의 진전을 ... ...
한인 연구자, 난소암 겨냥 항체 발견…"새 치료법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작용
을 억제하는 이 단백질은 최근에서야 자세한 특성이 규명됐다. 난소암 세포와 상호
작용
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 다른 형태가 된다는 것이다. 난소암 세포의 세포막에서 2개의 단백질로 나뉘는 형태와 난소암 세포와 결합한 형태가 각각 존재하는 것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같은 특성을 ... ...
영하 40도 견디는 현실판 '매머드' 나올까…코끼리 줄기세포 제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어 연구에 쓰기로 했지만 'TP53'이라는 유전자가 걸림돌로
작용
했다. TP53은 DNA에 발생한 돌연변이로 갑작스럽게 세포가 증식해 발생하는 암을 억제한다. 증식하는 세포가 자신을 파괴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TP53 유전자는 모든 포유동물에 존재한다. 인간은 2개의 TP53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