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뉴스
"
입
"(으)로 총 2,035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꺼비를 잡아 먹는 뱀
팝뉴스
l
2020.01.02
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거구이다. 뱀은
입
을 최대한 벌렸지만 두꺼비의 몸 끝부분만
입
에 넣었을 뿐이다. 과연 뱀은 사냥에 성공했을까. 사진 공개자는 결말을 이야기해주지 않았지만 뱀이 승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네티즌들의 대체적인 추정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01.01
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아직 오가노이드 기술이 여기까지 다다른 건 아닌 모양
입
니다. 그래서 지금은 오가노이드를 화학물질 스크리닝 같은 예비실험에만 활용한다고 합니다. 신약 개발 초기에는 후보물질만 수십 종이거든요. 우리 대신 오가노이드로 이런 후보물질의 효과를 테스트하는 ... ...
갈매기와 친구가 되고 싶은 고래 ‘화제’
팝뉴스
l
2019.12.29
제공 벨루가 고래가 갈매기를 쫓아다닌다. 물위에 떠 있는 갈매기를 코끝으로 찌르고
입
으로 살짝 물기도 한다. 갈매기는 귀찮은 듯 자리를 옮기지만 공포감을 느끼는 것 같지는 않았다. 고래의 행위가 위협이라고 생각되었다면 멀리 날아가고 말았을 것이다. 벨루가 고래는 갈매기와 친구가 ... ...
거미를 잡아 먹은 두꺼비 ‘충격’
팝뉴스
l
2019.12.23
큰 화제가 되었다. 두꺼비의 자세나 포스가 대단히 강렬한 느낌을 준다. 게다가
입
에 거미까지 집어 삼키고 있어서 공포감을 느끼게 된다는 말하는 네티즌이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데스크칼럼] 중앙과학관장 '귀환'과 중력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가고 오라면 오는 사람이다. 이 부처, 저 부처로 자리를 옮겨다니는 고위공무원들의
입
에서 흔히 나오는 말이다. 공직 사회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고개를 끄덕할 만한 이야기다. 하지만 이건 좀 심하다. 우리나라 과학문화의 중심지 국립중앙과학관의 이야기다. 19일 정병선 ... ...
얼굴 보정, 포토샵 말고 AI에 맡기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최적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했다. 기술을 활용하려면 인물 사진과 사용자가 원하는
입
력값만 알고리즘에 넣으면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적합하면서도 해당 사진 속 주변 환경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박 실장은 “국내 시각 AI 기술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 ...
인류 最古 동굴벽화 기록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2만 1000년 전으로 한참 뒤지만, 라스코 동굴벽화에도 이번 벽화와 비슷하게 부리 모양의
입
을 가진 모습을 지닌 반인반수 사냥꾼이 등장한다(아래 그림의 a,b). a와 b는 프랑스 라스코 동굴벽화의 사냥꾼 모습이다. 부리 모양의 머리를 지닌 반인반수 사냥꾼이 등장한다. 연대는 최대 2만 1000년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해독차 증기 들이마시면 효과?” 미세먼지 둘러싼 거짓정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그 부분으로 미세먼지가 들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는 코와
입
을 가리고, 마스크와 피부 사이의 틈이 거의 생기지 않도록 밀착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미세먼지를 빠르게 배출시키는 음식은 없다 유튜브 캡처 몸 속으로 들어간 미세먼지는 며칠간 체내에 머물렀다가 ... ...
한일 과학홍보 담당자와 청년과학자가 바라본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한계와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탈원전 정책이나 달탐사 프로젝트 같은 경우 정치쟁점화 되며 연구자들이
입
을 닫고 소통이 전혀 안되는 상황이 만들어지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성과도 정책에 맞춰 트렌드화를 추구하는데 필연적으로 과정 혹은 억지가 만들어진다”며 “이런 것이 과학적이지 않은데 기관에서 ... ...
"과학이 어렵기만 하다는 편견 극복하려면 과학자가 더 다가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2.06
토론 참가자들은 결국 이 둘을 매개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입
을 모았다. 한 연구원은 “연구자들에게 연구를 어떻게 설명해야할까는 너무나 어려운 숙제다”며 “긴밀한 소통을 통해 일반 대중 분들에게 하는 일들의 의의나 영향을 충분히 공감하게 하는 과학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