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뉴스
"
길이
"(으)로 총 2,776건 검색되었습니다.
D-60, 15년 미뤄진 인류 최대 우주망원경 마침내 발사장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지상 관제를 맡아 경로를 모니터링한다. JWST는 목표 지점에 날아가는 동안 접혀있던
길이
6.5m의 거대한 거울도 펼친다. 거울은 지름 1.32m인 육각형 거울 18개를 이어 붙인 독특한 구조로 JWST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거울 여러 개를 이어 붙인 것은 멀리 떨어진 천체에서 나오는 희미한 빛을 최대한 ... ...
소금 한 알 크기 ‘뉴로칩’ 770개가 동시에 생각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뒤 뇌파로 생각을 읽어내는 ‘프로젝트 스테노’를 진행했다. 여기에 사용된 뉴로칩은
길이
6.7cm, 너비 3.5cm의 직사각형 대형 전극이었다. UCSF 연구진은 프로젝트의 최종 결과물로 중증 사지 마비 환자의 뇌에 뉴로칩을 이식한 뒤 생각만으로 1분간 단어를 평균 15.2개 입력하게 만드는 데 ... ...
전기전도성·두께·신축성 세계 최고 수준 나노박막 전극 국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박막 전극의 전기전도도는 금속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원래
길이
의 10배까지 늘어나도 기계적인 결함 없이 전기적 성질이 유지됐고 두께는 250나노미터 수준으로 매우 얇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도 활용 가능한 것으로 입증됐다. 김대형 부연구단장은 25일 열린 온라인 ... ...
국내 연구진, 주름 전혀 없는 '무결점 그래핀'을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하지만 기판에 달라붙어 자라난 그래핀은 별로 줄어들지 않으면서 기판과 그래핀 사이
길이
가 맞지 않아 중간중간 접히게 된다. 두 손으로 종이를 붙잡고 손을 가까이 가져가면 종이가 구부러지는 것과 비슷하다. 기존 그래핀은 그래핀을 키우는 바닥 기판이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접힘 현상 ... ...
[전문용어 시대의 우리말](하)우리말 전문용어 사용, 영한사전 교과서부터 시작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말을 순화해서 발표하지만 그걸 쓸 수 있을지 의문이 들 때가 많다”며 “원어보다 말의
길이
가 길어 그냥 뜻풀이를 달아 놓은 인상을 주고 어색한 문장으로 바뀐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어려운 용어를 어떻게 고치느냐는 국어학자가 더 연구해야 한다”며 “각 분야의 전문가가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3) 극한의 우주환경 견디는 복합소재로 우주시장 정조준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누리호의 페어링 속에는 지름 2.7m,
길이
4m의 탑재체를 실을 수 있다. 한국화이바가 국내에선 유일하게 페어링 개발 경험을 갖추고 있다. 한국화이바는 2002년 발사한 액체로켓 KSR-3부터 시작해 지난 2013년 발사에 성공한 소형위성발사체(KSLV-1) ... ...
소형발사체 기업 로켓랩 25일 미 나스닥 상장…우주벤처 상장의 키워드 SPAC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약 40m
길이
의 재사용 가능한 중형 발사체로 8t의 무게를 궤도에 올릴 수 있다. 67m
길이
로 13.15t을 우주에 보낼 수 있는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보다는 작다. 수십 대의 군집위성을 발사하거나 달과 화성 등 심우주에 화물을 보내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금은 일렉트론 로켓 운영과 금성 ... ...
수성보다 더 가까운 태양의 '이웃' 2천만㎞ 접근 소행성 관측
연합뉴스
l
2021.08.24
표면 온도가 납도 녹일 수 있는 섭씨 500도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타원 궤도 장축
길이
의 절반을 나타내는 궤도 장반경이 7천만㎞로 수성과 금성을 넘어서지만 지금까지 확인된 소행성 중에서는 가장 짧은 것으로 기록됐다. 지구 궤도 안쪽에만 있는 이른바 '아티라(Atira) 소행성'은 태양 ... ...
[카드뉴스]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할까요? 사이먼 아처 영국 서레이대 교수팀은 수면 유형을 결정하는 유전자 PER3의
길이
가 길면 아침형이고, 짧으면 저녁형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PER3의 영향은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청소년 시기엔 유전자의 영향이 강하지만 40대가 되면 사회적인 영향이 크게 작용합니다. 보통 ... ...
배경 따라 몸 색깔 바꾸는 카멜레온 로봇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은나노선을 가열해 색을 바꾼다. 연구팀은 이를 응용한 카멜레온 로봇도 개발했다.
길이
38cm, 폭 15cm, 무게 0.9kg의 카멜레온 로봇이 배경 색을 감지하면 몸통색을 배경에 맞춰 바꾼다. 얇은 필름 형태의 소재이기 때문에 휘는 것도 가능해 카멜레온처럼 유선형 몸통에도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