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설명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모형의 마법, 눈결정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피해야겠죠. 게임 속 오로라 괴물은 하늘에서 땅까지 왔다 갔다 하며 빙빙 돌기 때문에 하늘에 올라갔을 때 잽싸게 지나가야 합니다. 이런 오로라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수학 모형도 있습니다. 노르웨이의 수학자이자 지리물리학자인 칼 스토머가 오로라에 대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거든요. 스토머는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2] 절대 질 수 없는 더비 매치 수학이 점친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인테르가 299득점, AC 밀란이 297득점을 올렸다고 하니, 정말 이보다 더 팽팽할 순 없겠죠? 하늘 아래 두 개 태양은 없다, 세계 최고 팀은 바로 나!축구 역사 이래 세계 최고의 축구팀을 뽑으라고 하면, 단연 많은 사람이 레알 마드리드 CF를 뽑을 것입니다. 팬심을 제외하고 말이죠. 실제로 국제 ...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켈레톤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종목이다. 스켈레톤이 썰매에 엎드려 타는 반면 루지는 하늘을 향해 누워서 탄다. 또 무릎과 어깨로 썰매를 눌러서 조종하는 스켈레톤과 달리 루지는 ‘쿠펜’이라고 불리는 조종 장치를 발로 조작해서 움직인다. 그만큼 ‘발놀림’이 중요하다. 한국 루지 대표팀은 ... ...
- 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놀랄 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모형의 마법, 눈결정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잠든 틈을 타 젖을 먹였지요. 그런데 눈을 뜬 헤라가 헤라클레스를 뿌리치자 젖이 밤하늘에 흩뿌려졌는데, 이 흔적이 은하수가 되었다고 해요. 그래서 은하수를 ‘우유의 길’이라는 뜻의 ‘밀키 웨이(milky way)’라고도 한답니다. 빅뱅(Big Bang)‘빅뱅’은 말 그대로 ‘꽝!’ 하는 대폭발로 우주가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발전할 것이다. 데이트도 눈으로 보기만 하는 것과 따뜻한 손을 잡고 포옹을 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가 아닐까. ‘그래. 결심했어’.인터뷰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 점점 개인화돼 가는 세상을 살아가는 과학기자답게(?) 가상현실 기기를 구매하기로 마음을 굳혔다. 그런데 가격 진입장벽이 꽤 ... ...
- [쇼킹 사이언스] 폭발하는 화산에서 푸른 빛이 번쩍! 화산번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번개까지 함께 치니 더욱 신비하게 느껴져요. 그리스 신화 속 제우스가 금방이라도 하늘에서 내려올 것처럼 보이지 않나요? 이처럼 화산 폭발과 함께 번개가 치는 현상을 ‘화산뢰’ 또는 ‘화산번개’라고 불러요. 영어로는 ‘지저분한 폭풍우’라는 뜻의 ‘dirty thunderstorm’이라고도 부르지요. ...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과학동아 l2018년 01호
- 770년 9월 조선의 밤하늘이 타는 듯한 붉은 오로라로 물들었다. 조선과 청나라, 일본 등 세 나라에 걸쳐 관측된 이 현상의 비밀을 일본 과학자들이 약 250년 만에 풀었다. 하야카와 히사시 일본 오사카대 교수팀은 붉은 오로라가 역사상 가장 거대한 규모의 태양자기폭풍의 결과로 생겼다는 연구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덕분에 그의 코덱스는 일부가 소실되고도 현재 6000여 쪽이 전해진다. 그중 상당 부분은 하늘을 나는 연구다. 연구 초창기의 그는 박쥐나 새처럼 날개가 관절처럼 움직이는 비행 기계를 고안했다. 그가 이것으로 실제 비행 실험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는 곧 인간의 가슴 근육의 힘만으로는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