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념
체념
자포자기
기권
추방
공공연히 버리기
절망
d라이브러리
"
포기
"(으)로 총 1,4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정해진 기능이 작동하도록 설계된 함수의 원리가 들어 있다.지성이는 결국 TV 보기를
포기
하고 방으로 들어간다. 음악을 듣기 위해서다. 그런데 MP3플레이어가 영 듣기 싫은 소리를 낸다.MP3는 큰 용량의 음성 정보를 아주 작은 용량으로 압축한 파일 형식이다. CD에 담긴 음악 1초는 보통 1411개의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찾아가는 탐험을 시도했지만, 히말라야의 거친 물살과 깊은 협곡을 이겨내지 못하고
포기
해야만 했다.갠지스강은 히말라야에서 발원해 엄청난 급류와 계곡을 지나 평원을 내달리고 모래밭을 헤치는 2510km를 흐르고서야 그 끝인 벵골만에 닿는다. 필자는 4월 6일부터 6월 21일까지 77일간 히말라야 ... ...
[culture] 발로 느끼는 숨 막히는 절경 그레이트 오션 워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자동차를 타고 달리면서 멋진 풍광을 감상할 수도 있지만 한 걸음 한 걸음 걸으며 풀 한
포기
돌멩이 하나하나까지 느낄 수 있는 그레이트 오션 워크. 이곳으로 천천히 걸어 들어가 보자.걷는 만큼 보인다, 걷는 만큼 만난다◀ 해안선을 따라 산과 들판의 오솔길을 걷는 그레이트 오션 워크는 해가 질 ... ...
나도형, 헝가리에서 스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같은 수는 같은 색알에 들어간다. 시작하자마자 여러 명이 정답에 도전하지만 실패한다.
포기
하고 시험장을 벗어나는 사람도 있다.“천천히 생각해 보면…. 그래, 정답은….” 외르뵈시 상의 영광“조선에서 온 나도형 군이 문제를 다 풀었군요. 과연 정답일까요? 정답이라면 제37회 외르뵈시 상의 ... ...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유인 화성 탐사를 가로막는 가장 큰 적은 스트레스. ESA와 IBMP 관계자들은 초기 2개월 안에
포기
하는 사람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모듈 내부에서는 그야말로 시간이 철저히 정지된다. 외부와 철저히 격리된 채 햇빛을 보지 못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먹고 마시고 쓰는 행동에 제약을 받는다. 또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직접 만들었는데, 그만 도중에 폭발해서 한쪽 고막을 잃기도 하셨지. 그렇지만 박사님은
포기
하지 않았어. 잃어버린 고막이 아깝지 않도록 꼭 로켓 과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하셨대. 결국 1979년에는 역사 속의 신기전을 최초로 복원하는 데 성공하셨단다.❶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나로 호가 세워져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어찌될지 모른단다. 어쩜 살아남지 못할지도 몰라. 하지만 연월기를 만드는 일은
포기
할 수 없는 일이야. 우리가 실패를 해도 다시 도전할 누군가가 필요하단다. 그 일을 네가 맡아 줬으면 좋겠구나.” 황산사의 깊은 눈길이 지오를 보았다. 순간 지오는 온몸으로 오소소 돋아나는 소름을 느꼈다. 알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사실을 알리려 애를 씁니다. 사람들은 주인공의 말을 믿으려 하지 않지만, 주인공은
포기
하지 않습니다. 제한된 차원에 속박되지 않고 저항의 정신을 일깨우기 위해 오늘도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답니다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루비(Al2O3)를 매질로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으나 이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포기
했다. 굴드는 TRG에서 칼륨 증기로 실험을 계속했지만 1960년까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미국 유수의 연구소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사이에, 휴즈 사에 소속된 작은 기술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투명망토는 우리가 상상하는 투명망토와는 상당히 거리가 멀었다.하지만 과학자들은
포기
하지 않았다. 그 뒤로 투명망토는 하나둘 업그레이드되기 시작했다. 한 예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장시앙 교수는 2008년 스미스 교수의 투명망토를 좀 더 그럴 듯한 망토 모양으로 한 단계 더 진화시켰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