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화"(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명확히 증명된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대부분의 공룡학자들은, 공룡이 처음 진화돼 나왔을 당시부터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크게 발달해 뒷발만으로 걸을 수 있었으며, 수십 cm 정도로 작은 잡식성 생물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하지만 지난 4월 12일 ‘네이처’에는 미국 버지니아공대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통화는 이처럼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그러나 해밀턴은 프라이스 방정식이 사회성의 진화도 놀랄 만큼 잘 설명해준다는 사실에 점차 빠져들었다. “나는 선생님의 논문 초고에서 유도된 수식에 매료되었습니다.” 1969년 12월, 해밀턴은 프라이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썼다. “어떻게 그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좌초될 위기에 있다).상식 뒤엎는 얼음 속 화학 반응생명을 이루는 분자가 우주에서부터 진화했을 것이라는 가설에는 과학자들 대부분이 동의한다. 적외선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해보면 실제로 다양한 분자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구에 떨어진 운석만 보더라도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년 전 남세균이 광합성을 통해 지구 생태계를 어떻게 바꿨는지 이해하면, 미래의 진화과정도 예측할 수 있다”며 “나아가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조류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더 읽을거리닉 레인, '생명의 도약'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아프지는 않은지, 덥지는 않은지 살뜰히 챙기는 딸을 볼 때 만큼은 미소가 가득했다" 진화론적 측면에서 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은 미국의 생물학자 조지 윌리엄스 박사가 ‘길항적 다면발현성이론’을 발표한 1957년이다. 동일한 유전자가 젊었을 때는 유익한 작용을 하지만, 나이가 들어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요소가 함께 작용해서 요정의 원을 만든다는 내용이었습니다.미국 프린스턴대 생태학및진화생물학부 코리나 타르니타 교수팀은 흰개미와 식물 경쟁을 동시에 적용한 컴퓨터 모델을 만들어 시뮬레이션을 했습니다. 그 결과 흰개미는 큰 규모의 패턴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식물 사이의 경쟁은 작은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많았다. 예를 들어, 2008년 미국 메릴랜드대 생물학과 헤더 린치 박사와 하버드대 생물및 진화생물학과 폴 무어크로프트 교수팀은 1970~1995년 사이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에서 해충에 감염된 숲의 산불 발생 빈도를 추적한 결과, 해충 발생 이후 7년간 산불 위험이 오히려 현저히 감소했다는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십만 년 전 어느 날, 한 구석기인이 계곡에서 뭔가를 열심히 찾고 있었다. 얼마 후, 냇가의 돌더미 속에서 주변과는 다른 뽀얀 돌을 집어 든 그는 여기저기 힘껏 두들겨 봤다. 쉽게 깨지는 다른 돌과 달리 그 돌은 멀쩡했다. 그 돌을 수렵채집에 이용했더니, 전에 비해 훨씬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똑같이 사랑하는 이타적 행동은 진화할 수 없다는 결론은 여전히 실망스러웠다. 그러나, 진화 생물학 초심자였던 프라이스가 자연 선택의 일반 이론을 단박에 찾아냈다는 사실이야말로 자비로운 신이 예정한 ‘기적’이 아닐까. 프라이스는 혼란스러웠다. +더 읽을거리Frank, S. A. (1995). George Price’s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번식에 밥과 달리 쓸모가 없다는 뜻으로 한 말이었다. 음악이, 단 음식을 좋아하도록 진화한 우리의 신경회로를 보다 효율적으로 자극하도록 제작된 치즈케이크 같다는 것. 그런데, 정말 그럴까. 2파트에서 확인해보자. +더 읽을거리이석원, ‘음악하는 뇌’후루야 신이치, ‘피아니스트의 뇌’in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