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그 아래 있는 물이나 따뜻한 얼음이 솟아오르면서 무너진 것처럼 추정되는 특이한 붕괴
지형
도 보인다.갈릴레오의 자기장 자료를 보면 유로파뿐 아니라 가니메데와 칼리스토도 표면 아래에 액체 바다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니메데와 칼리스토 주변의 자기장은 표면 아래에 전기적으로 전도된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형성되면 더이상 침식과 퇴적이 일어나지 않는다. 북한에 있는 낙랑준평원이 이런
지형
이다.준평원이 융기해 산지를 형성하면 산 정상부는 평탄하다. 이를 고위평탄면 또는 융기준평원이라고 한다. 돌강이 시작되는 비슬산 정상 부근에도 여의도 면적의 1/3 정도인 약 30여만평에 이르는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밝고 어두운 부분과 선들이 존재한다. 화성의 표면은 숙련된 관측가들에게 꽤 많은
지형
들을 보여준다. 화성 표면의 대협곡이나 높은 산 등은 표면에 어두운 흐릿한 부분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초보자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확연한 특징이다.화성이 흥미를 끄는 가장 큰 이유는 대기의 다양한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카우프만은 이 같은 사실로부터 N개의 유전자를 갖는 생물의 네트워크는 K=2 정도의 NK-
지형
과 비슷한 수의 끌개를 가질 것으로 추정한다. 실제로 유전자들은 대개 2-10 정도의 연관된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도 강력한 끌개가 존재한다. 단백질 3차원 구조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유명한 사이클 경주인 ‘뚜르 드 프랑스’에서 다섯차례나 우승한 에디 메르크스는 험한
지형
에서도 6시간 내내 전속력으로 사이클을 탈 수 있다. 그러나 실내에 고정돼 있는 사이클을 타본 결과 한시간만에 녹초가 돼버렸다. 땀을 비오듯이 흘렸지만 페달을 밟는 격렬한 운동으로 근육에서 생긴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약 4km, 폭 5백m 이상의 넓은 사구지대가 형성돼 있다. 바람과 모래가 만들어내는 특이한
지형
이 나타나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해안사구의 전형이다.무리지어 피어오른 띠꽃이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 연분홍 해당화 군락, 세찬 바람에 날리는 모래구름, 사막을 연상하게 하는 모래언덕, 그리고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거리가 5백m로 현재 국내 최장의 현수교다.곽 교수는“다리를 놓을 지점이 정해지면 그
지형
에 가장 적합한 다리의 형태와 재료, 비용 등을 찾아주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우선 과제”라며“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토대로 설계가 완성되면 그 뒤 실제 구조물을 짓는 과정, 즉 시공은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영남알프스의 가운데쯤에 위치한다. 즉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말이다.이런
지형
적 특성은 냉기를 오랫동안 끌어안게 해준다. 상공을 지나는 한랭한 공기가 이곳으로 한번 들어오면 바깥으로 잘 빠져나가지 못한다. 차가운 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다. 따라서 상공의 기류가 얼음골로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출발한지 7개월쯤 후 화성탐사로봇 삼총사가 착륙할 곳은 어디일까. 당연히 물과 관련된
지형
이다. 아울러 착륙시 얼마나 위험할 것인가 하는 점도 고려됐다. 물을 찾는다는 과학적 목적과 탐사로봇이 무사히 착륙해야 한다는 안전성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했다. 과학적 가치와 공학적 안전성이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정 반대편으로 진다는 것이죠. 그 다음부터는 일사천리로 진행됐습니다. 그림에 나오는
지형
들의 거리와 높이 등과 보름달이 뜬 시점을 계산한 결과 그 해 5월 16일과 7월 13일에 절벽의 그 위치에서 달이 떠오른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과연 둘 중 어느 날이었을까요.문제는 의외로 쉽게 풀렸습니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