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학"(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적용한 것”이라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공동 연구자인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경성현 박사는 “빅데이터가 질병 진단이나 환자 특성 파악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했다”며, “이 기법이 다른 질병에도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데이터과학자를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유인하는 수법과 비슷하다.네이처에 연구 결과를 발표한 싱가포르 듀크-싱가포르 의학전문대학원 연구팀은 지카바이러스의 열역학적 안정성에 주목했다(doi:10.1038/nature17994). 지카바이러스는 뎅기열과 달리 40℃에 가까운 고온도 잘 견디는데, 고해상도 이미지로 껍질 단백질을 살펴본 결과 다른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얼마나 뛰어난지를 세포 혹은 동물실험으로 확인해 보는 식이다. 정원균 한국원자력의학원 중입자임상연구부장은 “새로운 입자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를 환자들에게 적용하려면, 효과와 유해성에 대한 세포실험 및 동물실험 자료가 필요하다”며 “독일에서는 현재 헬륨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를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물질이 여성 우울증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생물학적정신의학’ 2015년 12월 15일자에 발표했다(dx.doi.org/10.1016/j.biopsych.2015.11.027). 연구에 참여한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신약 재창출 방식은 이미 있는 약품 자원을 활용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동물실험에서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제가 나눈 건 아니고 미국 심리학의 개척자인 그랜빌 홀이 1897년에 ‘생리의학 사전’이라는 책을 통해 분류했습니다. 하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Knismesis)’입니다. 벌레가 팔 위를 누비는 상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벌써 근질근질 하시죠?). 굉장히 성가신 가려움이죠. 몸 전체의 피부에서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987년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지금껏 로봇 개발에 매진해 온 순수(?) 공학도. 그런 그가 의학 등 학문의 기반이 다른 이들과 함께 연구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까. 그는 “의료진과의 협업에는 문제가 없다. 모르면 물어보면 된다”며 “그보다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을 우리 몸에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3년이 되기 전 몸에 이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유성호 서울대 의대법의학교실 교수는 “(지속적으로 락스를 마셔) 위나 식도에 심한 부식이 일어나 천공이 발생할 경우, 변의 색깔이 짜장면 색으로 변한다”며 “본인도 몸의 변화를 바로 알아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 역시 금세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는 의학이나 공학이 크게 다르지 않지만, 접근법에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의학에서는 이미 검증이 확실하게 된 전통적인 연구를 연장시켜 나가는 방향을 선호하는 반면, 공학은 기존 연구를 벗어나 좀 더 창의적이고 새로운 걸 만들어 내려고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남다은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워낙 통계가 많이 쓰이다 보니 최근에 통계학 박사도 영입하고, 울산대 의과대학 안에 의학통계학과도 만들었습니다. 위상수학에서 영감 얻어요!조각가 김주현수학과 예술.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네덜란드의 천재 판화가 에스허르 말고는 본 적이 별로 없다. 과연 우리나라에도 수학으로 작품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특효제다. 이 성분을 찾아낸 중국의 전통의학연구원 투 유유 교수는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기도 했다. 문제는 이 물질이 간단한 구조 같아 보여도 화학적으로 합성하기엔 꽤 복잡하다는 점이다(추후 화학합성법을 개발하긴 했지만 너무 단계가 많아 추출하는 방법보다 경제성이 떨어졌다).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