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그간의 성 과를 차분하게 설명하는 그에게서 과학자의 내공이 느껴졌다.▲공현철(뒷줄 오른쪽에서 네번째)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박사팀. 연구원들 뒤로 국내 최대의 드론 전용 시험장이 보인다.“지난해 10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3 서울 항공 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에서 인기 댄스곡에 ...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필즈상을 받은 수상자 네 명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 두 번째부터 오른쪽으로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세드리크 빌라니, 응오바오쩌우.수학 싫어하는 사람만 보는 영화필즈상을 받은 세계적인 수학자도 어렸 을 때는 수학을 싫어했을까? 많은 사람들 이 수학을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꼬리까지 볼 수 있었고, 햇빛을 가려 눈부심을 방지하는 차단막까지 갖추고 있었다(오른쪽 페이지 첫번째 사진).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다른 절지동물은 물론 삼엽충의 친척 중에도 눈이 아예 없는 종류가 많았던 것에 비하면 천지차이다. 앞서 말했듯, 삼엽충의 눈을 구성하는 재료는 방해석이다. ...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새로운 편집을 시도하기도 한다. 2006년 발행한 ‘집합론’이 대표적이다. 왼쪽은 영문, 오른쪽은 한글로 편집해 원서와 번역서를 같이 공부하도록 했는데, 반응이 매우 뜨거웠다. 양 부사장은 “이우영 교수처럼 처음에 우리 책으로 공부를 했던 학생이 교수로 돌아와 책을 집필하거나 번역하는 일도 ... ...
- [수학뉴스] 더 공평한 월드컵 조 편성 방법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그래프로 나타냈다. 이는 1만번의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과다. 아래 종 모양 그래프가 오른쪽에 그려질수록 해당 조는 ‘죽음의 조’에 속할 확률이 높다. 왼쪽 그래프에서 보는 것처럼 미국의 경우, 구욘의 방법으로 조 편성을 하면 현재의 G조보다 좀 더 편한 경기를 진행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 ...
- [생활] 계산을 쉽고 편리하게! 소수점과 순환소수수학동아 l2014년 07호
- ⓞ ① ② ③12.345 ⇒ 12ⓞ 3① 4② 5③ 또는 12 3 4 5또한 스테빈은 두 소수의 곱도 오른쪽과 같이 구했다. 이 식은 0.000378과 0.54를 곱해 0.00020412가 나온 것을 의미한다. 지금 보면 굉장히 독특하고 복잡해 보이지만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표기법으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사실 스테빈의 원문자 ... ...
- 기계생명체의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숨을 불어 넣기 위해 모터를 30개나 썼고, 직접 제작한 소프트웨어로 정교하게 조절했다.오른쪽 ‘쿠스토스 카붐’이라는 기계생명체의 배 안에 있는 회로는 마치 우리의 척추신경계를 닮았다. 이렇게 태어난 ‘쿠스토스 카붐’은 잠자는 어린이처럼 쌔근쌔근 숨을 쉰다. 동영상으로 만나보자.▲ ...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용해 이 재료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에 사는 딱정벌레(아래 오른쪽 사진)는 건조한 환경에 살지만 미세한 나노 구조로 된 등껍질을 이용해 공기 중의 물을 모아 먹고 산다. 등껍질에 있는 친수성 재료에 끌려 모인 물이 소수성 재료 사이에 모여 물방울로 자라나고, 어느 정도 ... ...
- 6회 캠퍼스에서 수지의 흔적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보낸 건 역시 K였다. 문자메시지에는 격자 칸 안에 수가 적혀 있었고, 맨 마지막 오른쪽 아래 칸에만 ‘?’가 쓰여 있었다.중앙도서관에서 찾은 수지의 책물음표에 해당하는 수가 가리키는 곳은 다름 아닌 중앙도서관이었다. 왕 반장 일행은 K가 보낸 퍼즐의 답을 따라 발걸음을 옮겨 중앙도서관으로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경기에서 나온 골의 수에 따라 약팀이 이길 확률을 계산하면 결과는 오른쪽 그래프와 같다. 약팀은 1:0으로 이길 때 확률이 30%로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는 2:1로 이길 확률이 약 20%로 크다.물론 이와 같은 승률은 약팀과 강팀의 득점률이 3:7이라는 가정에서 얻은 값이다. 게다가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