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외
이례
파격
변칙
이형
변태
특례
d라이브러리
"
예외
"(으)로 총 903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프로젝트의 신병기로 떠올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래 유전자의 정체를 밝히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인간유전자의 경우도
예외
가 아니어서 그동안 총 5만여 유전자중 수천개가 밝혀졌다. 앞으로 게놈프로젝트가 성공리에 끝나게 된다면 10~15년 안에 인간 유전자 지도를 완성하게 될지도 모른다. 프랑스는 이 작업을 강력히 추진하기 ... ...
금년도 대학입시를 치르고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학생들이 단순히 공식 몇 개만을 암기하고 넘어가는 수가 많았다. 나도 처음 공부할 때는
예외
가 아니어서, 공식을 보고서 '그냥 이렇게 계산하는 것이다'하고 외워버리고 말았다.처음에는 별다른 무리가 없었으나, 점점 복잡하고 응용된 문제를 많이 풀게 됨에 따라 이해가 없는 단순한 암기는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총독나비 근처엔 얼씬거리지도 않으려든다. 모험을 또다시 하기 싫어서다.그러나 언제나
예외
라는 것이 있어서(이 역시 무차별적인 진화덕택이다) 어떠한 독성에 면역을 개발한 동물들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와같은 면역은 엄청난 혜택으로서 남들이 접근하지 못하는 생명체들을 잡아먹을 수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는 유럽각지의 공원에 서 있는 큰 나무, 정원에 놓인 돌 등을 조사했는데 대도시에서는
예외
없이 이끼종류가 먼저 사라지는 것을 발견했다.그뒤 대기오염의 정도와 지의류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사람은 일본 시즈오카 대학의 스기야마교수였다.스기야마교수에 따르면 이끼류는 비가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독성을 나타낸다. 심한 경우에는 생물을 죽게 한다. 필수적인 미량금속이라 할지라도
예외
는 아니다.우리는 흔히 비중 4.0 이상의 금속을 중금속이라고 한다. 중금속 중에서 철(Fe) 아연(Zn) 코발트(Co) 수은(Hg) 카드뮴(Cd) 납(Pb) 비소(As) 등은 때때로 생체에 독성을 나타내는 유해금속이다.식품에는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통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조시켰던 것이다.과학기술계도 통일의 큰 물줄기에서
예외
는 아니다. 일례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남북과학기술교류협력위원회(회장 권이혁)를 꾸려 한반도 주변의 생태계 조사, 남북한 공동의 과학기술용어사전편찬 등의 공동연구를 북한 측에 제기한 바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소프트웨어 업체의 육성은 이제 점점 어려워지리라는 이야기를 했다. 그러나 여기에
예외
가 있을수 있다면 이는 바로 교육용 소프트웨어 시장일 것이다.우리의 교육 내용과 과정이 외국과 다른 것을 생각할 때 한국형 소프트웨어의 제작이 가장 쉬운 곳도 바로 교육용 소프트웨어 시장이기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려져17세기 경부터 조선에서 출판된 목판 지도첩의 첫장이나 마지막 장에는 거의
예외
없이 천하도(天下圖)라는 세계지도가 붙어 있다. 조선 후기의 지도첩은 천하도 외에 중국도 일본국도 유구국도 등 외국지도와 조선전도 팔도분도(八道分圖) 등 우리나라 지도들로 구성돼 있다. 이를테면 그 당시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 새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 것일까. 구관조를 비롯해 사람의 말을 흉내내는 새들은
예외
없이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그렇다면 서로 떨어져 있는 동료와 연락을 하기 위해 그런 발성능력을 가졌을까. 대부분의 동물학자들은 구관조의 흉내내는 기술을 태어난 뒤에 익힌 후천적인 기술로 보고 있다.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개가 석조였다.일반 서민들은 도시외곽지대에 초가집을 짓고 살았다. 그들은 거의
예외
없이 촌락을 이뤄 생활했다. 그러나 카리브족 등의 외침에 견디지 못해 치첸 잇사를 포기하고 내륙지방으로 이동한다. 그뒤 10세기 말엽에는 유카탄반도 남부로 다시 돌아온다. 여기서 그들은 제2의 마야문명을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