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선생님은 오지 않으셨네요. 시원이는 안도의 숨을 내쉬며 얼른 빈자리로 갔어요. 그런데
옆
에 파부르가 앉아 있었어요. 시원이를 보고 파부르가 속닥거렸어요.“대체 무슨 생각으로 미친 화학자의 수업에 늦은 거야? 아직 안 오셨기에 망정이지!”시원이는 괜히 민망해져서 책상 위에 있는 비커와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물속에 들어가야 한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그러니까 우리가 물수제비를 뜰 때 몸을
옆
으로 기울이고 수면을 향해 돌을 던지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걸 증명한 셈이지요.연구팀은 물수제비가 몇 번이나 일어나는지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모형도 만들었어요. 이 수학 모형을 활용하면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대화가 가능했다. 그는 “모니터를 보면서 이런 특이 사항이 발견될 때마다 그래프
옆
타임라인에 메모를 해둔다”며 “나중에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할 때 참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며 타임라인을 보여줬다. ‘KORUS-AQ 네 번째 비행 오전 10:04:23 – 서울 상공의 가장 낮은 고도에서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은(銀)’이 되었답니다.금속을 의미하는 ‘금 금(金)’은 쇠를 녹이는 용광로와 그
옆
에 떨어지는 쇳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예요. 금(金)을 ‘이제 금(今)’과 ‘흙 토(土)’, 그리고 반짝이는 점 2개가 합쳐진 글자로, ‘땅 위에 반짝이는 물질’로 해석하기도 하지요.한편 ‘물 하(河)’는 물을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빛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죽음은 어디 있을까? 죽음은 본디 그림자처럼 삶의 빛 바로
옆
에 있는 게 아니었던가? 죽어있는 것은 누굴까? 나? L박사? 저 바다 너머의 모든 사람들?)L박사는 나무들을 보고 휴대컴을 들여다보며 중얼거리고 있다. 투덜거리는 것도 같고 당혹한 것 같기도 하고 혹은 모두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실험실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5900t짜리 해양과학조사선이라는 기대감 때문이었을까. 마침
옆
에 정박된 거대 유조선 때문이었을까. 폭 18m, 길이 99.8m의 이사부 호가 처음에는 그리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하지만 타보니 달랐다. 배 밑바닥 엔진실부터 꼭대기 조타실까지 좁은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데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난소 300개를 채취한다. 시간으로는 2시간 정도 걸린다.피가 뚝뚝 흐르는 돼지 머리가
옆
을 지나가는 시각적인 고통보다 힘들었던 것은 냄새였다. 돼지 특유의 누린내와 피 비린내가 두터운 마스크를 파고들었다. 식염수를 담은 보온 통이 절반쯤 찼을 때, 기자는 견디지 못하고 먼저 자리를 떴다.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하늘에 별이 빛나고 있었다.‘우주인가?’단의 눈앞에 있는 거대한 천체는 양
옆
으로 수증기를 내뿜고 있었다. 천체 위에는 턱이 짧고 코가 긴 남자가 검정 모자를 쓴 채 단을 쳐다보고 있었는데, 눈이 마주치자 먼저 말을 건넸다.“나는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야. 넌 누구니?”“수학자 가우스요?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않았다. 4국의 23수를 살펴보자(위 그림). 알파고는 23수로 왼쪽 아래에 백의 강한 돌
옆
으로 자신의 돌을 붙였다. 만약 사람이었다면 중앙과 좌변의 형세가 정해진 뒤에 자신이 침투할 위치를 고민했을 터였다. 나중에 필요에 따라 A나 B로 붙이는 게 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알파고는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플라스크 위 상황이 실시간으로 나오고 있었다. 남 연구원이 양손으로 현미경 양
옆
에 있는 손잡이 두 개를 움켜 쥐었다. 손잡이를 조작하자 현미경 재물대 위에 붙은 가느다란 바늘 두 개가 미세하게 움직였다. 그는 익숙한 솜씨로 왼쪽 바늘로 난자를 붙잡고 오른쪽 바늘로 난자를 찔러 핵을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