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편미분방정식을 이용해 홍수피해를 예측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것을 단순화한
수정
모형을 쓴다. 모든 현장상황을 고려한 원래 모형으로 계산하면 많은 시간이 걸려 강우예보 뒤 짧은 시간 안에 홍수를 예측하거나 실시간으로 예보할 수 없어서다. 이처럼 현장에서는 경험을 토대로 가장 ...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배포해 사용자들의 평가를 받아 반영한다. 이런 방법으로 에러나 사용자 이용성을
수정
해 최종 제품의 완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앞으로는 실감모델링기술로 이와 비슷하게 가상환경에서 신제품을 평가하고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제조업에서도 고객이 원하는 재료로 디자인을 직접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개발은 더뎠다.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가능한 건
수정
한 지 14일이 안된
수정
란(배아)에서 뽑아낸 줄기세포인데(배아줄기세포), 이것을 연구나 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윤리적인 난관에 부닥칠 수밖에 없었다. 그 대신 성인의 몸 여러 조직(골수와 지방세포, 제대혈 등)에 존재하는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조금 다른 문제다. 눈이 두 개라서 거리감 조절을 잘할 수 있지만 이때 자동적으로
수정
체가 조절돼야 정확한 시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근 조절도 마찬가지로 중뇌에서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처리되고 있다.척추동물의 진화와 눈이번에는 볼펜으로 간단한 실험을 해보자. 연필을 눈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굽히지 않았지만, 새로운 증거나 데이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온라인판의 논문을 약간만
수정
했을 뿐이다. 울프-사이먼 박사팀은 해명글에서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우리 실험을 재현하고 가설을 검증하기를 바라며, 비소 박테리아 샘플도 요청에 따라 나눠 줄 수 있다”고 말했다.하지만 비소 ... ...
시집가려고 고향 떠났던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것으로 보인다”며 “처음엔 직립보행의 근거를 찾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지만 가설을
수정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학술지 네이처 6월 2일자에 소개됐다 ... ...
Are We Having Babies All Wro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최근 산부인과가 아닌 집에서 아기를 낳는 운동이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시사주간지 타임은 한 유명한 산파와의 대담을 통해 이러한 경향을 짚어보는 시간 ... 본고는 타임 워너사의 기사를 기초로, 한국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새롭게
수정
및 편집한 글입니다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위해서는 상록수와 활엽수에 차이가 나타나야 하는데 정교한 실험을 위해 실험 방법을
수정
해 재실험했다. •녹말/포도당 재실험의 개선점 - 포도당 실험에서 정확성을 위해 식물(상록수와 상록수가 아닌 것)의 잎을 빻아서 실험했다. - 베네딕트 반응을 시킬 때 직접 가열했다. (전 실험에서는 물 ... ...
한 권에 담은 기후변화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글을 쓰고 그 글이 책으로 편집되는 사이에도 상황이 변해 여러 차례 내용을
수정
해야 했다”며 “기후변화 분야가 변화무쌍하고 역동적이라는 증거”라고 말했다. 이 말은 그만큼 연구자들이 이 책에 가장 최신 자료와 연구 결과를 담으려 노력했다는 뜻도 된다. 이 책이 지식을 백과사전식으로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정부에서 연구를 허용한 배아줄기세포주(인공
수정
시술에서 쓰고 남아 폐기될 예정인
수정
란에서 얻은 배아줄기세포)를 특정한 세포로 분화시켜 세포치료를 할 수 있는 수준까지 만드는 연구에 전념해왔다. 그 결과 배아줄기세포를 망막색소상피세포로 분화시켰고 적혈구로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