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부르기도 한다. 반타블랙이라는 명칭은 2014년 영국 기업인 서레이나노시스템스가
빛
반사율이 0.045%인 신소재를 개발하며 반타블랙이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반타블랙 소재는 현재 우주망원경이나 태양전지, 자동차 등에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아직은 안정성 면에서 다소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방법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그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를 시작합니다. “
빛
이 있으라!” ●두 번째 유모 ‘두 번째 유모’는 우리나라 SF작가인 듀나의 단편소설입니다. 듀나는 1990년대부터 활동해 온 대표적인 한국 SF작가죠. 여기서 소개하는 두 번째 유모는 다른 작가들과 함께 낸 ...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열이 느껴져요. 또 불꽃이 타오르면서 주변이 밝아지지요. 이처럼 어떤 물질이 열과
빛
을 내며 타는 현상을 ‘연소(燃燒)’라고 해요.연소가 일어나기 위해선 일단 불에 탈 물질이 있어야 해요. 양초가 바로 불에 탈 물질이지요. 연소 반응은 불에 타는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면서 일어나기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관객의 동작을 인식해 그 움직임에 맞춰
빛
이 왜곡되도록 만들었죠.파장을 표현한
빛
이 자연스럽게 왜곡될 수 있도록 양 작가는 ‘펄린 노이즈 알고리듬’을 활용했습니다. 펄린 노이즈 알고리듬은 1980년대 켄 펄린 미국 뉴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지형이나 눈 같은 자연 현상을 현실감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돌고 있는 궤도선에 신호를 보내면 궤도선과 지구가 교신합니다. 물론 이 모든 통신은
빛
이 화성에서 지구까지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있어 지연이 발생한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겠죠. 6. 우주복이유 : 튼튼한 우주복으로 몸을 보호하려고전인수 : 화성에 갈 때 우주복은 필수입니다. 화성의 여러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않는다. 최경식 순천향대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는 “동공이 혼탁하면 밖에서 들어온
빛
이 망막 뒤쪽에 시신경이 모여있는 황반에 맺히지 않아 사물을 제대로 인지할 수 없다”며 “좀비의 동공 상태만 보면 실명에 가까운 수준으로 사물을 분간하지 못 해야 하는데, 좀비가 사람을 명확하게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이야기가 포함돼 있었다. ‘이걸 하면 되겠다!’ 그 순간 머릿속에서 한 줄기
빛
이 번쩍였다. 현대 천문학은 첨단 기술 덕분에 관측 능력과 컴퓨터 연산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며 발전하고 있다. 이 분야로 뛰어들면 공학적인 취미를 충족시키면서 과학 연구까지 해나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
[과학뉴스] 3.5밀리초만에 물체 피하는 드론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마이크로초 단위의 짧은 시간 동안
빛
의 변화가 있는 픽셀만을 감지해요.만약, 픽셀의
빛
의 세기가 변하면 변한 부분만을 컴퓨터에 바로 전송해요. 컴퓨터는 이 이미지를 분석한 뒤 반응하지요. 그 결과 물체를 피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거예요.연구를 이끈 취리히대학교 다비드 스카라무짜 ... ...
[가상인터뷰] 홈볼트오징어,
빛
으로 대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달리 피부 밑에
빛
을 내는 기관이 있거든. 또, 피부에는 색소기관이 있어. 피부 밑에서
빛
을 내더라도 피부의 색소기관에서 어두운 색을 만들어 몸을 덮을 수 있지. 색을 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무늬를 만들 수 있는 거야.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로봇 훔볼트오징어를 만들 예정이래.ROV보다 ... ...
[수학뉴스] 태양
빛
예측해 발전 효율 높인다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MCM) 모형’을 이용해 일조 강도를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일조 강도는 태양
빛
이 내리쬐는 세기를 말합니다. MCM 모형은 ‘은닉 마르코프 모형’을 계산하기 좀 더 쉬운 형태로 수정해 연구진이 새로 만든 통계 모형으로, 시간에 따른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측 결과를 확률로 계산합니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