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d라이브러리
"
민감
"(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3 더위가 사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전염병들은 유행성 이하선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감소추세다.이처럼 유독 기후변화에
민감
한 질병들이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은 매우 이레적인 현상이다. 아직 이러한 변화를 기후변화 때문만으로 단정할 수 없지만 기후변화와 상당한 관련성이 있을 개연성은 충분하다.기후변화로 인한 건강피해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새의 명관은 사람의 성대와 달리 용골돌기 내부에 있기 때문에 외부의 온도변화에
민감
하지 않고 쉽게 건조해지지 않는다. 하루종일 입만 벌리면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 이유다. 새들마다 명관의 크기가 달라 소리도 다양하다. 대체로 큰 새들이 명관도 크며 소리가 아름답지 못하다.새들은 먼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동안 정전됐던 사태는 태양 폭발로 인한 지자기 폭풍이 원인이었다.태양 폭발에 가장
민감
하게 영향을 받는 것은 무엇보다 위성이다. 1998년 무선호출기 통신위성인 갤럭시4는 태양에서 나온 고에너지 입자의 영향으로 작동 불능 상태가 됐다. 그 결과 미국 전역에서는 무선호출기가 불통되고 관련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방법으로 탄생시켰는데, 흥미로운 사실은 이들 생쥐가 캅사이신은 물론 고온에도 덜
민감
하다는 것이다. 이로서 매운 고추를 한입 덥석 베어 물었을 때 느껴지는, 혀끝과 구강점막이 얼얼해지는 상태의 영어 표현인 ‘It's hot!’의 과학적 근거가 밝혀진 셈이다.캅사이신의 자극은 신경세포 말단에서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사무실에 근무하는 여성들의 월경 주기가 같아지는 현상이 페로몬 때문이며, 남녀 간
민감
한 끌림의 배후에는 잘 의식하지 못하는 냄새 성분의 화학작용이 있다는 학설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후각이 사람 간 의사소통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쓰인 예는 별로 없다.낯선 개들이 야외에서 만나면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카페인을 만드는 식물은 자체 방어를 위해 노력한다. 즉 세포가 분열하는 곳처럼 독소에
민감
한 부분과 멀리 떨어진 곳에 카페인을 저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자신이 만든 카페인의 독성에 자멸하고 만다.부분적으로 이런 이유 때문에 커피 농장은 10-25년마다 자리를 옮긴다. 결국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단위 귀리의 일종인 아베니(Avena sativa) 싹의 신장대(伸長帶)가 식물 생장촉진 물질에 대해
민감
한 생장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한 옥신 정량법(定量法)의 시험법 단위이다 렌즈 등의 구면의 곡률반지름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기계 보통 구면계는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세 개의 바늘을 구면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느끼게 함으로써 역감(force sensation)을 재생하는 기술과는 달리 사람의 신체부위 중 가장
민감
한 손끝에 느낌을 전달한다.손끝에 두개의 다른 자극이 주어졌을 때 둘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 간격인 공간적 분해능은 대략 1mm다. 즉 손끝의 한 지점을 바늘로 살짝 찌른 뒤 그 지점에서 1mm 이상 벗어난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NMR 분광학은 화학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측정기술로 발달됐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민감
도와 분해라는 두가지 측면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런 연구에 집중을 한 인물이 바로 스위스의 화학자 리하르트 에른스트다. 그는 고선명 핵자기공명 분광학의 방법을 개발한 공로로 1991년 노벨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항상 태양을 향해 있어야 한다. 만일 망원경이 태양을 향하게 배치되면 태양빛으로 인해
민감
한 기기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SIRTF와 태양을 이은 선과, SIRTF의 장축각도가 태양 쪽을 향해 80도 이하로 기울어지면 안된다. 또 태양 반대방향으로도 1백20도 이상 기울일 수 없는데, 이는 태양전지에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