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인공지능, 악플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삭제까지 걸리는 시간을 훨씬 앞당겼어요. 이 기술을 개발한 ETRI 연구팀은 “인공지능 덕분에 불법 촬영물을 삭제하는 속도가 10배 이상 빨라졌다”고 말했지요. ETRI가 개발한 기술은 피해자가 신고한 불법 촬영물을 쪼개 이미지로 만들고 특징을 추출한 뒤, 동영상을 올리는 사이트들을 검색해 이 ... ...
- [만화뉴스] 앗, 실수로 발견! 실크 단백질로 유통기한 늘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베네데토 마렐리 연구원이 이 단백질에 딸기를 빠뜨린 실수 덕분에 알려졌어요. 실크 단백질이 묻으면 음식 표면의 물은 증발하고, 얇은 막만 남아요. 이 막이 세포의 호흡과 수분 증발을 줄여 음식이 썩는 시간을 늦추지요. 연구팀은 향, 맛 등 식품의 본질을 바꾸지 ...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6학년이고 상을 받은 다른 학생들은 중학교 1~2학년 선배들이었거든요. ‘수학동아’ 덕분에 제 어깨가 으쓱해졌답니다. 연재 코너에 재미를 붙이거나 폴리매스 활동을 먼저 해라! 초등학생이 ‘수학동아’를 보기에는 다소 어렵다는 돌직구 의견도 있었습니다. 최신 수학 연구와 생활 ... ...
- 빙하 감시단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텍스트 위주의 이메일 정도만 사용할 수 있었어요. 당연히 스마트폰은 안 됐고요. 덕분에(?) 스웨이츠 빙하에선 일상과 단절된 채 한 달을 지냈어요. 몇몇 동료는 해방감에 좋아했지만, 전 두 달 넘게 배를 탔더니 남극을 오간 지 14년 만에 가장 심한 향수병을 느꼈어요. Q14년 째 방문이면, 혹시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데 활용됐다. 새로 추가된 카이로스의 연산능력은 크라켄보다 약 25배 향상된 1.56PF다. 덕분에 현재 최대 핵융합 난제로 꼽히는 플라스마 경계면 불안정성(ELM)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플라스마 경계면 불안정성 문제는 핵융합 실험로 내부에서 발생한 플라스마의 경계면이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미지를 각각 저장하는 대신, 색깔이 달라진 화소만을 저장하는 압축 기술을 사용해요. 덕분에 동영상은 같은 화질에도 GIF보다 용량이 작지요. 이런 탓에 GIF는 보통 길이가 1~5초로 짧고 해상도가 낮은 움짤이나 이모티콘, 스티커를 만들 때 쓰인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돌리고~돌리고, DIY 원심분리기 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하는 생각에 불안하죠.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거예요. 앞서 말했던 ‘원심력’ 덕분이죠. 어떤 물체가 원운동을 할 때, 원심력은 운동하는 원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겨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360° 회전하는 롤러코스터가 거꾸로 매달린 순간, 원심력은 중력과 반대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내가 만든 여자들’을 출간했습니다. 잘 못하던 수학을 열심히 해 교사가 됐던 경험 덕분인지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일이 어렵지 않았어요. 좋아하는 게 없어서 무슨 직업을 가져야 할지 모르겠다면 무엇이든 3개월씩만 해보세요. 그렇게 1년이면 새로운 시도를 네 번 해볼 수 있어요. ‘이 중에 ... ...
- [과학뉴스] 밝혀진 X자 은하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형태로 보인 거라고 밝혔지요.이번 발견은 남아프리카 사막에 있는 미어캣 전파망원경 덕분이에요. 지름 13.5m의 거대한 전파 안테나 64개가 함께 우주를 관측해요. 천체에서 온 전파를 분석해 천체의 위치, 크기 등을 알아내지요. 미어캣 전파망원경이 관측한 영상을 합치면 지름 8km 전파망원경으로 ...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 수 있어 가볍다는 장점이 있지요. 또한 탄성을 가지는 케이블 덕분에 외부에서 오는 충격이 구조 전체로 분산되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요.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선 2012년부터 화성 탐사 로봇을 텐세그리티 구조로 만들기 위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답니다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