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회"(으)로 총 2,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1학급 1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가 30개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불어넣는 역할을 톡톡히 한 것이다. 또 책을 받아본 2학년 10반 학생들은 교내 과학탐구대회에 참가할 때 과학동아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나와 세상을 잇는 징검다리공부에 파묻혀 지내는 과학고 학생들에게 지난 1년 동안 전달된 과학동아는 단비와 같은 존재였다. 인천 과학고 정재우(3학년) 군은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나서 반갑습니다. 전 ‘Mr. 착시’입니다. 본명은 신경 쓰지 마시고, 전 예술가니까 Mr. 착시라고 불러주세요. 착시를 일으키는 작품을 보면 눈이 즐겁지만 직접 만드는 건 어렵다고요? 착시는 수학적인 예술이에요. 보는 사람의 시선을 따라 조금만 계산하면 생생한 착시를 만들 수 있지요.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것이다. 두 사람은 이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2005년 수학과 예술을 접목한 브릿지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기도 했다.벤 다이어그램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수학자들의 본성을 통해 새로운 예술로 완성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대칭 벤 다이어그램은 집합의 개수가 11개인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대회 준비를 할 수 있었던 건 다 지사탐 덕분이라고 생각해요. 지사탐이 아니었다면 이런 대회가 있어도 그냥 지나쳤을 테니까요.그런데 둘은 원래 알던 사이인가요?고민욱 : 아니에요. 지사탐 대원으로 활동하면서 처음 만난 뒤 친해지게 됐죠. 재윤이랑 저는 둘 다 1기부터 3기까지 계속 지사탐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어떻게 연구해 왔는지, 앞으로 어떤 연구가 이어질지 알아봅시다.학생 N명이 수학경시대회에 응시했습니다. 서로 아는 학생들은 같은 시험장에서 시험을 볼 수 없다고 할 때 시험장은 최소 몇 개 있어야 할까요?서로 아는 사이인지 미리 조사해 놓는다면 시험장이 최소 몇 개가 필요한지 알 수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오히려 고등학교 가면서는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잃기도 했어요. 주변에는 수학경시대회에 나가 상을 받는 친구들도 있는데, 저는 그러지 못했거든요. 수학을 잘하는 친구들이 많으니 위축이 됐고, 자신감도 잃게 된거죠. 하지만 항상 수학을 좋아했고, 결코 수학에 대한 흥미는 잃지 않았죠. 그래서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름을 검색해보고는 내 춤의 매력에 푹 빠져 취업에 성공했다’(보니 바리룩스, 2008년 대회 참가자) 등 다양한 사연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은 “춤 형식으로 연구 주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가 창의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그런 의미에서 올해 생물학 분야의 우승자인 리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형태로 넣어 갖고 다니면서 온오프라인 어디에서나 결제나 송금을 할 수 있었어요. 대회가 끝났을 무렵 민트 칩이 자선 기부금과 주차료, 통행료, 식사비 등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캐나다 정부는 이런 실험을 통해 디지털 화폐 시대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알아본 거예요.앞으로 돈은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소문은 일파만파 번져나가 주요 언론이 보도하는 건 물론, ‘1998 독일 베를린 세계수학자대회’ 홈페이지에도 소식이 올라왔다. 수학자들은 리만 가설을 해결한 물리학자를 축하해 주려고 프린스턴 고등과학원에 모일 계획까지 세웠다. 리만 가설이 해결되면 암호체계가 무너질지도 모른다는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는 것이다. 액시온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77년 이휘소 박사를 추모하는 학술대회에서였다. 이른바 ‘대칭성 깨짐’에 대해 논의하던 학자들 사이에서 스티븐 와인버그와 프랭크 윌첵이 주장한 것이다. 예컨대 대칭성이 있다는 말은 특정한 집합에 있는 원소들을 좌표변환 등의 방법으로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