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유학일기] 오타쿠의 성지로 유학 간 성공한 덕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정했다. 그렇게 벌써 도쿄대 전자정보공학부에서 3년째 공부하고 있다.아쉽게도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생 선발 프로그램은 2018년 20기를 마지막으로 폐지됐다. 하지만 일본 문부과학성 국비유학생 프로그램 등 국가에서 장학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길은 여전히 열려있다. 오타쿠라고 나무라지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0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브로드연구소는 미국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가 공동 설립한 생명과학연구소다. 그간 가장 앞선 유전자 가위로 꼽혀온 ‘크리스퍼(CRISPR)-캐스9’는 유전자 교정 성공률이 10% 이내여서 사실상 유전자 치료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1927년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명확히 파악되지 않았다. 2018년 고 교수는 엄지원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팀과 공동으로 PTPσ가 세포 내부와 외부에 있는 다양한 단백질과 상호작용해 시냅스 신호전달을 매개할 뿐만 아니라 시냅스 생성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신경과학저널’ 7월 25일자에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알아냈다. 제레미 골드보겐 미국 스탠퍼드대 홉킨스해양연구소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고래류의 먹이 섭취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크기가 다양한 돌고래와 고래 300여 마리에 센서를 부착했다. 이를 통해 고래의 행동반경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영상으로 먹이 섭취방법을 촬영해 분석했다 ... ...
- [한페이지 뉴스] 조류인플루엔자가 사람에 감염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 이유를 밝혀냈다. 마티아스 셀바흐 독일 막스 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조류인플루엔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사람의 몸 안에서는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막단백질 ‘M1’을 충분히 만들지 못해 인체 감염 가능성이 낮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MPGG·The Mt. Paektu Geoscientific Group)을 통해 북한과 소통하고 있다. 백두산 공동연구에 대해서는 남북 양측 모두 긍정적이지만, 유엔 차원의 대북제재나 정치적, 법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 교수는 “아직도 외국 화산학자들에게는 백두산의 중국식 표기인 창바이산(長白山)이라는 이름이 더 잘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혹은 비행이 종료된 후에 발사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텔레메트리 장비 ‘리톤-5’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개발 덜된 1단을 러시아에 속아서 사 왔다? 2009년 여름, 나로호의 첫 발사가 임박하고 나로호 1단까지 도착하면서 나로우주센터에는 온 국민의 관심이 쏠렸다. 그러다 보니 웃지 못할 ... ...
- 기후변화를 늦추려는 세계의 노력수학동아 l2020년 01호
- 202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확정해야 해. 그리고 국제 사회는 그 이행에 대해 공동으로 검증하게 되지. 2017년 6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나라인 미국이 탈퇴하면서 협정의 효용성을 의심하는 사람이 있지만, 여전히 세계 탄소 배출의 87%에 해당하는 200여 개 국가가 협정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있는 3D 프린팅 기술이 꼭 필요해요.지난 7월, 유럽우주국(ESA)과 독일 드레스덴공과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우주에서 3D 프린터를 이용해 피부와 뼈를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우주 환경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 인간의 혈장을 포함한 바이오잉크에 끈끈한 정도인 ... ...
- [과학뉴스] ‘우주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펼쳐졌어요. 위 그림은 독일 막스플랑크물리연구소 라즈믹 미르조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이 지난 1월 관측한 감마선* 폭발의 상상도예요. 지난 11월 20일, 연구팀은 이 감마선 폭발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미르조얀 교수팀은 스페인에 있는 전파망원경 ‘매직’으로 지난 1월 발생한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