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d라이브러리
"
최근
"(으)로 총 11,5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거엔 빛의 속도가 달랐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최근
상수라고 믿었던 빛의 속도가 오래 전에는 달랐다는 연구결과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나와 학계에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즈대의 존 웹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하와이 마우나케아산의 케크 망원경을 이용해 1백20억광년 떨어진 퀘이사 17개를 관측해 이같은 결과를 ... ...
인간복제가 동물복제보다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성장조절 유전자 차이인간복제를 둘러싸고 끊임없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듀크대학 의학연구소는 인간복제가 동물복제보다 안전하고 쉽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과학전문지 ‘인간분자유전학’(Human Molecular Genetics) 최신호에 발표된 이번 연구보고서는 또한번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좀더 높은 효율의 발광 특성을 가진 분자 합성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에는 전기뿐 아니라 압력의 변화에도 빛을 발하는 새로운 분자를 합성하는 쾌거를 거뒀다. 이번에 합성한 분자는 하프늄카보레인(Hafnium carborane)이라는 물질로, 카보레인 유기분자가 하프늄 금속을 양쪽에서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표방하고 나선 딴지일보는 엽기 발랄한 기사로 한때 네티즌들을 광분하게 만들었다.
최근
개봉한 영화 ‘엽기적인 그녀’가 개봉 2주만에 2백만 관객을 동원한 것도 청소년 문화에서 ‘엽기코드’를 읽어낸 제작자의 기획이 적중한 결과였다. ‘기괴하고 이상한 일에 유난히 흥미를 느끼는 것’을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초고속 슈퍼컴퓨터 개발에 1억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업체인 오라클도
최근
10만개로 추정되는 인체 내 단백질 목록을 만드는 새 프로젝트의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2년마다 인터넷 경진대회 개최2000년 5월부터 9월까지 제4차 CASP라는 대회가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美)의 대명사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과학에서도 대칭은 중요한 요소로 여겨왔다. 하지만
최근
대칭성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빅뱅 이후 물질과 반물질 중 물질만이 남아있는 문제에서 더욱 대칭성이 깨지고 있다. 반물질 연구에 왜 대칭성이 중요한 것일까.대칭은 완벽함의 대명사다. 다보탑이나 ... ...
한국 2001년 과학축제 쌍두마차 대한민국과학축전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댄싱로봇 경연대회 등 여러가지. 8월의 크리스마스 강연은 세계적인 로봇 석학이자
최근
컴퓨터칩을 팔에 이식시켜 관심을 모은 영국 레딩대의 케빈 워릭 교수가 진행했다. 그는 강연 도중 청중과 로봇에게 4개의 고리를 다른 장소로 누가 빨리 옮기는지 경쟁을 붙여보기도 한다. 그런 후 이에 ... ...
초전도성 새롭게 밝혀진 철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압력 아래에서 초전도체의 성질을 가진다는 연구결과가 영국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근
호에 발표됐다.자성이 초전도성과 결코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돼왔기 때문에 철의 초전도성은 학계에 놀라움을 주고 있다. 초전도성의 이론에 따르면, 스핀이 서로 반대방향인 전자들이 쌍을 이뤄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익스프레스가 토성에 가까워짐에 따라 중절모를 쓴 멋쟁이가 범수와 하영을 맞이한다(
최근
동아 사이언스 홈페이지 설문에서 태양계에서 가고 싶은 미래여행지로 토성의 얼음고리가 총 투표인원 2천6백73명 중 35%의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삐딱하게 쓴 중절모는 바로 토성의 고리다. 토성의 ... ...
4. 육체와 잘못 짝지어진 성 소년은 울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남성은 3만명당 1명이고 성인 여성은 10만명당 1명 꼴로, 남자가 3배 이상 많다.그러나
최근
에는 성정체성 장애 환자들의 주장을 지지하는 의학적 연구결과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다. 지난 5월 ‘임상내분비학 및 신진대사 저널’에 발표된 프랑크 크루버 박사팀의 연구도 그 중 하나다. 네덜란드 뇌 ... ...
이전
754
755
756
757
758
759
760
761
7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