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뉴스
"
새로운
"(으)로 총 12,024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신화 올해도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가위에 쓰일 수 있는 다양한 효소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Sniper Cas9’이란
새로운
효소로 3세대 유전자 가위 기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xCas9'과 'SpCas9-NG'란 효소로 그 범용성을 높이기도 했다. 네이처는 김 단장을 포함한 과학자 7명이 선정한 ‘2019년 주목해야할 기술’을 공개했다. ... ...
과학메카 찾은 문대통령 "우리가 세계표준"…4차혁명 선도 의지
2019.01.24
산업혁명 특별시' 행사에 참석해 "대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도 도시다. 대덕특구의
새로운
도약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이런 신기술을 통한 혁신성장이 한국 경제의 체질을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바꿔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 ...
삼켰다 꺼내는 식도암 진단 알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스테판 멜처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의학 및 종양학과 교수 연구팀은 식도암을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줄에 매달린 캡슐 형태의 알약을 개발했다고 22 ... 검사하기 때문에 검사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식도 전체를 검사하는 이 기법은 식도암 검사에
새로운
해법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 ...
정부 R&D 지방시대 연다...대덕특구 지역 혁신성장 거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직접 방문해 연구원들을 격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새로운
기술과 창업, 기술이전, 인재양성이 결합되는 지역혁신 플랫폼으로 연구개발특구 모델에 주목했다. 연구개발 특구는 현재 대전 대덕 특구와 광주 특구, 대구 특구, 전북 특구, 부산 특구 등 전국 5개다. ... ...
암 유발 단백질 ‘라스’ 분해하는 간암 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방식으로 접근했지만 이번 연구는 라스 단백질의 양을 조절해 단백질 활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며 “표적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한 효과적인 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 ...
KAIST-딥마인드팀, 공학 난제 해결 AI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기반한 결과로 딥러닝과 강화학습의 한계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며 “
새로운
AI 알고리즘 설계에 많은 영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팩트체크] 잘못된 논문에…“슬라임 유해성 과장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규제로서의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한화학회는 “어떤 물질에 대한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려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결과는 물론이고 여러 가지 국내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며 “붕소처럼 국제적으로도 규제하지 않는 물질을 ‘유럽이 하니까 우리도 한다’는 식으로 ... ...
4차 산업혁명한다면서 삼성 LG만 의존하는 한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애널리틱스 한국 지사장은 “한국은 8년 연속으로 높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새로운
기업이 계속 늘고 있는 중국과 달리 새롭게 추가되는 기업이 한동안 없다는 점이 아쉽다"며 “ 다음 미래를 이끌어갈 기술을 무엇일지 미리 예측하고 기술을 선점하는 것이 앞으로의 혁신의 승패를 가를 ... ...
'백신접종은 反자연주의' 그릇된 신념이 홍역이라는 유령을 되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WHO)에서 매년 어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행하는지 분석하며, 이에 따라 매년
새로운
백신이 개발된다. WHO는 홍역 바이러스가 8종류이며 총 23개의 아형이 있다고 규정했다. 하지만 홍역의 항체는 헤마글루티닌 수용체에만 결합하는데, 이 단백질의 유전자형이 한 가지 뿐이다. 홍역 ... ...
고통에 대한 부정적 감정만 들어내는 신개념 진통제 개발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유발하는 뇌세포를 발견했다. 고통이 적고 중독성이 없는 차세대 진통제를 개발할
새로운
길을 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및응용물리학과 그레고리 셰러 교수와 마취학및신경외과 마크 슈나이저 교수 연구진은 통증과 관련해 뇌에서 부정적인 감정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 ...
이전
753
754
755
756
757
758
759
760
7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