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체에서 ‘오른손 분자’도 중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연구자들은 D-메티오닌과 D-류신이라는 두 오른손잡이 아미노산이 이 변화를 주도한다는
사실
을 밝혀‘사이언스’ 9월 18일자에 발표했다.세포벽은 아미노산과 당이 서로 결합해 만든 그물망 구조인‘펩디도글리칸’으로 이뤄져 있는데 D-메티오닌과 D-류신이 끼어들어가면서 펩티도글리칸 합성이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할 때 전기 램프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 이집트에는 전지의 원리를
사실
과 상징을 섞어 묘사한 듯한 벽화가 있다. 많은 반론을 부른 주장이었지만 전지가 현대인의 전유물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이 제기된 것이다.실제 고대인들이 전지를 썼다는 강력한 증거가 나온 적도 있다. 기원전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것”이라고 전망한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카메라는 새로운 용도를 개척하며 여전히 ‘
사실
의 정직한 목격자’로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앞으로 카메라가 또 어떻게 진화해갈지 관심이 쏠린다. 두 눈으로 실감 영상 담는 3D 디카 눈의 구조를 설명할 때 흔히 카메라에 비유한다. 수정체는 렌즈에,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것으로 밝혀졌다. 스펙터 교수는 25~79세 쌍둥이 여성 607명의 손을 X선으로 촬영해 이 같은
사실
을 알아냈다.자궁 속 테스토스테론이 남긴 흔적손가락 길이가 이처럼 사람의 성격, 질병, 그리고 여러 가지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직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멀리 떨어져 있는 왜소은하는 너무 어두워 웬만한 망원경으로도 잘 보이지 않는다.
사실
왜소은하의 존재가 처음 밝혀진 시대는 1930년대였지만 크기도 작고 별도 많지 않은 왜소은하는 천문학자들이 외면해온 ‘별 볼일 없는’천체였다. 그런데 10여 년 전부터 왜소은하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 ...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黃鐘管)을 사용해 도량형을 정했다. 일정한 음계를 내는 피리의 길이가 고정돼 있다는
사실
을 이용해 표준으로 삼은 이 방식은 당시로서는 매우 뛰어난 과학제도였다. 중국의 역사를 다룬 ‘한서(漢書)’의 율력지에 이 제도가 다음과 같이 성문화돼 있다.“도(度)는 황종관의 길이를 기본으로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폭이 좁은 연소실에서 연소가 일어나고 다시 배기구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조니까요.
사실
이 개념은 1930년부터 나오기 시작했으니 그리 새로운 것도 아니예요.”정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이론에서 구한 램제트와 스크램엔진의 추진력을 연구실에 설치된 극초음속충격파 풍동장비로 실험한다.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결과 뉴턴의 머리카락에서 정상수치보다 40배나 많은 수은이 검출됐다. 이 결과가
사실
이라면 아침에 생각난 아이디어를 잊지 않기 위해 하루 종일 침대에 앉아 있었다고 하는 뉴턴의 특이한 습관은 수은중독이 일으킨 신경계통의 장애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왜 뉴턴은 수은중독에 빠질 만큼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몰려왔나 보다. 앞으로 펼쳐질 미국여행에선 어떤 일이 벌어질까?그리고 놀랄만한
사실
하나! 허풍과 도형이 만났던 암호명 매헌이 우리가 알고 있는 윤봉길 의사라는 것. 믿어지진 않지만 허풍과 도형의 용감무쌍한 모습을 보고 용기를 얻은 윤봉길은 3년 뒤, 1932년 4월 일본왕의 생일날 행사장에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높았던 것은 브라질이었다. 브라질은 남미에서 국제수학자대회가 개최된 적이 없다는
사실
을 내세워 국제수학연맹을 설득했고, 2006년부터 꾸준히 준비를 잘 해온 상태였다.“어려웠던 상황에서 우리가 역전할 수 있었던 계기는 올해 초에 있었던 국제수학연맹의 실사였습니다. 3명의 실사단이 ... ...
이전
751
752
753
754
755
756
757
758
7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