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오른쪽"(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동아사이언스 l2014.01.13
- 본 뒤에는 남이 얘기해 주지 않으면 결코 다른 얼굴이 보이지 않는다. 그의 삽화(맨 오른쪽 그림)는 이제 사람들이 ‘아, 이 그림!’ 할 정도로 널리 알려졌다. 그런데 이 그림은 ‘보링의 인물(Boring figure)’로도 불린다. 미국 하버드대의 저명한 실험심리학자 에드윈 보링이 1930년, 애매모호한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동아사이언스 l2013.12.23
- 시험관 아기 탄생 30주년을 맞아 당시 산모 레슬리 브라운(가운데)과 아기 루이즈 브라운(오른쪽)과 함께 했다. 루이즈가 안고 있는 아기는 아들 캐머런이다. - Bourn Hall Clinic 제공 결혼이 갈수록 늦어지면서 알게 모르게 시험관아기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적정 임신 시기를 놓쳐 자연임신이 잘 안 ...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동아사이언스 l2013.12.09
- 그룹으로 묶임을 알 수 있다. ‘빨간 모자’ 페로 버전(Perrault)과 그림 형제 버전(Grimm)이 오른쪽 아래에 보인다. 왼쪽 아래에는 우리나라의 ‘해님달님’(TG12)과 ‘해순이달순이별순이’(TG13)이 위치한다. - 플로스원 제공 사실 이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민속학자 사이에 의견이 분분했는데, 한 학설은 ... ...
-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뿌리를 찾다 Ⅱ동아사이언스 l2013.11.11
- 원시적인 깃털로 덮였을 거라는 주장(가운데)도 있는 반면, 여전히 기존의 비늘 형태(오른쪽)를 지지하는 학자들도 있다. - 네이처 제공 고생물학은 참 이상한 학문이다. 이미 끝난 일을 연구하는데도 영원히 미완성이기 때문이다. 알려진 화석을 바탕으로 최선의 학설을 제시해도 새로운 화석이 ...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3.10.21
- 왼쪽)는 세포 사이 공간이 좁아 뇌척수액이 주로 뇌 피질 표면에만 머무르지만, 잠잘 때(오른쪽)는 세포 사이 공간이 60%가 늘어나면서 뇌척수액이 침투하고 흐름도 활발해져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사이언스 제공 사실 우리 몸이 활동하면 노폐물이 나오기 ... ...
- 공감하고 싶으면 앨리스 먼로를 읽으세요동아사이언스 l2013.10.14
- 추측하면 된다. 물론 주관식이면 피험자들이 견디지 못할 것이므로, 사진 오른쪽 옆에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네 개가 있다. 즉 이 가운데 하나를 고르면 된다. 따라서 다 맞추면 36점이다. 첫 번째 실험결과를 보면 문학소설을 읽은 그룹은 평균 25.9점인 반면 논픽션을 읽은 그룹은 23.4 ...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2013.10.10
- 시간을 12개로 나누어 표시한 12시 동판이 왼쪽에, 25개로 밤 시간을 나누어 표시한 경점이 오른쪽에 위치해 있고, 각각의 동판에는 12개와 25개의 작은 구리구슬이 설치되어 있다. 부전이 떠오르면서 차례로 12시와 25경점 동판을 치면 구슬이 떨어져 광판을 지나 시보장치의 동통으로 굴러들어간다. ... ...
- 서번트 증후군, 놀라운 기억력의 비밀은…동아사이언스 l2013.09.16
- 베티 에드워즈 미국 LA 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는 1989년 출간해 100만 부가 넘게 팔린 책 ‘오른쪽 두뇌로 그림 그리기’에서 사람들이 그림을 잘 못 그리는 건 우뇌의 묘사력을 억제하는 좌뇌의 추상화 성향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즉 좌뇌는 대상을 개념화하려고 하기 때문에 디테일을 무시하고 ...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9.02
- 작업한 사람의 상상력이 많이 개입된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두 가지 복원 모습. 오른쪽 이미지가 널리 쓰이고 있다. - 사이언스 제공 두개골을 비롯해 꽤 많은 뼈가 회수된, LB1이라고 명명된 사람은 30세가량의 여성으로 키가 불과 106센티미터인데다 뇌용적은 380cc(후에 정밀한 측정 결과 426cc로 ...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동아사이언스 l2013.07.02
- 방출선스펙트럼 가운데 발머 계열. 가시광선 영역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발견됐다. 오른쪽부터 각각 파장 656nm(나노미터, 빨강), 486nm(청록), 434nm(파랑), 410nm(보라)에 해당한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원자의 스펙트럼을 해석하는데 골몰하고 있던 스웨덴의 물리학자 요하네스 뤼드베리는 발머의 ... ...
이전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