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스페셜
"
끝
"(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노벨상을 받았다. 저널리스트 실비아 네이사는 내쉬의 삶에 큰 흥미를 느껴 오랜 취재
끝
에 1998년 논픽션 ‘뷰티풀마인드’를 출간했고 3년 뒤 영화화됐다. 노벨상 수상과 영화로 내쉬는 정신 상태가 한층 더 나아졌고 이혼 뒤에도 줄곧 내쉬를 돌봤던 전처와 2001년 재혼했다. 그리고 올해 아벨상 ... ...
화(火), 표현해야 건강해진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갑작스러운 정신적 스트레스 후에 흉통과 함께 심장초음파 검사에서 심첨부(심장
끝
의 꼭지점 부분)가 부풀어 오르는 특징 등 독특한 양상이 발견된 것. 심장 모양이 일본에서 문어를 잡은 단지인 타코주보처럼 변한다고 해서 일본에서는 ‘타코주보 심근증’으로도 불린다. 사실 정신적인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
2015.12.26
1978년 스물여덟인 딸 파멜라가 우울증으로 농장에서 자살한 것. 제라시는 이때의 충격을
끝
내 극복하지는 못했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농장을 예술촌으로 만들어 많은 예술가들을 지원했다. 한편 두 번의 이혼을 겪고 세 번째 결혼한 아내 다이앤 미들부룩은 스탠퍼드대 영문과 교수로 유명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이런 의문에 대한 답을 준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Robert Berner)가 올 초 오랜 투병
끝
에 타계했다. 1935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이리에서 태어난 버너는 지질학도인 형 폴의 영향으로 미시건대에서 지질학을 전공했고 1962년 하버드대에서 퇴적물의 황화철 형성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
2015.12.15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아이들은 내가 느낀 것이 곧 남이 느낀 것이란 공식을
끝
까지 미는 반면 (네 살 이전의 아이들은 나의 느낌과 타인의 느낌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한다) 어른들은 '어 잠깐'을 생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결국 타인을 이해하는 것의 핵심은 '그는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다가간 순간 누군가가 작살을 던졌고 정통으로 맞혔다. 놀란 고래는 잠수를 시작해
끝
없이 밑으로 내려갔다. 작살 뒤에 묶은 줄이 딸려가면서 연의 얼레에서처럼 감아놓은 수백 미터 길이의 줄이 엄청난 속도로 풀리면서 바닥을 드러내기 일보 직전이 됐다. 선원 하나가 도끼를 들고 줄을 끊을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
2015.11.30
않기 때문이다. ● 자기장을 이용해 만드는 그릇 '토카막' 과학자들은 오랜 연구
끝
에 자석을 이용해 만든 핵융합 장치 ‘토카막(Tokamak)’을 발명했다. 플라즈마가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는 점에 착안해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면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동영상으로 알아보는 일반상대성이론과 특수상대성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15.11.23
보고 있는 10분은 눈 깜짝할 새에 지나가지만, 좋아하지 않는 사람을 보고 있는 10분은 그
끝
이 다가오지 않을 정도로 길다, 그것이 바로 특수 상대성이론´이라는 농담이 있습니다. 바로 10년 전이었던 2005년에는 이 특수 상대성이론 100주년을 기념했지요. 그리고 10년이 지난 2015년 11월 25일은 일반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5] 본격 플라즈마 실험 시작
2015.11.18
데도 보름 정도가 소요됩니다. 이렇게 약 반 년 간 이어져 온 KSTAR 운전 일정이 모두
끝
나면 KSTAR는 다시 내년 운전을 준비하며 긴 휴식에 들어갑니다.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연구자들은 종종 KSTAR의 플라즈마 실험을 1년 농사에 비유하곤 합니다. 정해진 기간 동안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지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
IBS
l
2015.11.18
보는 것도 좋다. 영화 '아일랜드'와는 또 다른 접근법으로 생명복제를 다룬 작품이다.
끝
으로 김 연구위원은 영화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복제인간에 대한 고민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다. "나의 행복을 위해 나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복제인간을 만들 수 있다면, 그리고 아무도 모르게 희생시킬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