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최신현 KAIST 교수, 현우 KAIST
학술
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5.01
혁신적인 반도체 연구 성과로 KAIST가 주관하고 현우문화재단이 후원하는 `현우 KAIST
학술
상' 수상자가 됐다고 1일 밝혔다. 최 교수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 분야에서 대표적인 연구 업적을 이뤘다. 값비싼 초미세 노광공정을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전기를 15배 이상 절감하고, 수직 적층 구조에 ... ...
가정용 세탁기, 병원균 제거 못해…슈퍼박테리아 확산 원인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5.01
전파와 항생제 내성의 잠재적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1일 국제
학술
지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 바이오필름은 미생물 복합체로, 오염된 세탁물에 의해 세탁기 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연구팀은 가정용 세탁기들의 성능을 확인해 병원에서 묻어온 항생제 내성 ... ...
[과기원NOW] KAIST 2025 리서치데이 개최…연구대상에 배현민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수 있는 도구인 모와(MoWa)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30일 열린 국제
학술
대회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2025'에서 발표된다. MoWa는 AI가 생성한 기본 동작에 디자이너가 의도한 감정 표현과 움직임의 의미를 덧입힐 수 있도록 돕는 도구다. 반복 작업을 줄이고 전체 제작 효율을 높일 수 ... ...
전기차 배터리 화재, '110도'에서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홍종섭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 SEI 분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
학술
지 ‘ACS 에너지 레터스’에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배터리 안전성 확보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고온에서 발생하는 열폭주는 화재와 유독가스 배출 등 ... ...
한국인 석학, 美 마커스노화연구소 신설 부소장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등을 수상했다. '저널 오브 제론톨로지 메디컬 사이언스' 부편집장을 비롯해 다양한
학술
위원회에서 활동 중이다. 2024년에는 하버드의대의 ‘A. 클리퍼드 바거 멘토링 우수상’을 수상하며 교육자로서도 돋보이는 행보를 이거가고 있다. 한국에서는 '저속노화'로 유명한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교수와 ... ...
차세대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복합섬유소재로 에너지 저장량 한계 극복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활용한 고성능 슈퍼커패시터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15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컴포지트 파트 B: 엔지니어링'에 공개됐다. 슈퍼커패시터는 기존 배터리보다 전기 에너지 저장량이 적어 장시간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전기차나 드론 등 실사용 분야에서 배터리 대체재로 한계를 보인 ... ...
5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재준 서울대 교수…AI모델 경량화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경량화 AI 반도체 연구성과는 2022년 6월 반도체회로설계 국제
학술
지 'JSSC'에 게재됐고 전력 AI 반도체 관련 성과는 2023년 5월 표현학습국제학회(ICLR)에서 발표됐다. 김 교수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전력 집적 회로 설계 연구에 매진해 AI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 ...
뇌 속 '숨은 조절자' 망가지면 우울증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세포의 기능이 망가지면 우울증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실험 및 분자 의학’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신호 전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포스포리파아제C(PLC) 에타1’이 뇌의 외측고삐핵(lLHB)에 있는 성상교세포에 많이 존재하며 ... ...
[과기원NOW] 고체 전해질 배터리 '기술적 딜레마' 깼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29
배터리의 오랜 딜레마를 해결할 고분자 전해질 소재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게재했다고 29일 밝혔다, 배터리 내 전해질은 주로 액체 형태여서 누출 및 화재 위험이 있다. 대안이 되는 고체 전해질은 젤리처럼 부드러울 땐 이온이 빠르게 흐르지만 ... ...
AI의 생화학 무기 설계 막는 알고리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9
식이다. 연구에 참여한 알바로 벨라스케즈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연구원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안전 조치를 구현하는 것이 간단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규제기관이나 감독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제임스 주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는 "사람들이 AI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