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송"(으)로 총 1,0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상]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2017.09.24
- 우주에는 카시니 외에도 수많은 탐사선이 활동 중입니다. 몇몇은 보고 들은 것을 지구로 전송하느라 바쁘고, 몇몇은 수십억km 떨어진 목표 행성 향해 열심히 항해 중입니다. 이런 탐사 기술의 가장 기본은 행성의 운동 법칙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행성들의 공전과 자전 운동을 알아야만 행성의 ... ...
- [카드뉴스] 마지막 임무를 준비하는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성과 9가지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종료 예정이었으나 타이탄을 127회 플라이바이 함으로써 가능했다. 6. 635GB 분량의 자료 전송 카시니가 보낸 엄청난 자료는 3948건의 논문을 탄생시켰다. 위성 엔셀라두스에서 물기둥을 발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찾은 성과도 있었다. 7. 7년에 걸쳐 토성에 도착 2004년 7월 1일 토성 궤도에 ... ...
- [수고했어! 카시니] 임무 끝내는 토성 탐사선의 20년 여정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사라지는 ‘죽음의 다이빙’입니다. 다이빙 직전 토성 대기를 분석한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게 됩니다. 카시니는 지난 4월부터 토성과 고리 안쪽 사이 공간을 22회 통과하며 고리를 관찰하는 ‘그랜드 피날레’ 임무를 명 받았는데요, 죽음의 다이빙은 그 마지막 미션 중에서도 마지막 미션입니다. ... ...
- 9가지 숫자로 본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일생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발사 당시에는 지금 같은 소형 저장장치가 없어 자기 테이프를 이용해 자료를 저장하고 전송했다. 이 자료로 현재까지 발표된 논문만 무려 3948건. 이 중에는 위성 ‘엔켈라두스’에서 물기둥을 발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찾은 성과도 있다. 카시니가 토성 대기에 진입하면서 실시간으로 보내는 ... ...
- 아이폰X에 담긴 애플의 10년2017.09.13
- 하면 으레 데이터를 전송하고, 분석된 결과를 가져오는 방식이 우선시 되지만 애플은 전송하지 않는 분석 기술을 고집했다. 그리고 그 기술이 자리잡으면서 애플은 A11에 ‘바이오닉’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듯하다. 최호섭 제공 또 한가지 짚을 게 있다. 바로 애플의 GPU다. 애플은 그 동안 ... ...
-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의 반도체 설계는 ‘아름답다!’ 2017.08.03
- 빨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메모리 접근속도나 외부 장치에 연결하는 것도 빨라진다. 전송 속도나 처리 속도도 중요하지만 응답 속도 역시 중요한 부분이다. 이를 전체적으로 빠르게 한 것이 코어와 각 버스를 연결하는 메시 아키텍처다. 메모리에서 프로세서 안으로 들어온 뒤의 응답 속도를 ... ...
- 민간-대학 동아리, 소형 실험용 로켓 ‘사운딩 로켓’ 붐동아사이언스 l2017.07.28
- 하늘로 던진 로켓’이라는 뜻이다. 비행시간 중 로켓의 비행 데이터는 모두 지상으로 전송되고, 로켓 내부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개발 과정을 통해 로켓 추진기관 기술, 비행 데이터 등 우주발사체 관련 기반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고성능 사운딩 로켓은 40∼100km의 고도를 관측하는 데 ... ...
- [제온 이야기 ①] 인텔, 클라우드에 맞춰 반도체를 다시 그리다2017.07.19
- QPI라는 인터페이스로 연결했다. QPI는 9.6GT/s, 그러니까 1초에 9.6기가, 96억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보통 이를 2개 이용했다.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는 10.4GT/s로 속도를 높이고 채널도 3개로 늘렸다. 이름도 UPI로 바꾸었다. 채널이 늘어난 이유 역시 여러개 코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리가 ... ...
- 지하철 와이파이로도 HD급 동영상 마음껏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9
- 차량에 설치한 단말기까지 와이브로보다 약 100배, LTE보다 30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고 말했다. MHN 기술은 지난달 국제전기통신연합의 5G 후보 기술 규격 평가문서에 반영돼 앞으로 5세대 이동통신(5G) 국제표준기술로 승인될 가능성도 커졌다. 김 부장은 “5세대 이동통신은 도보 ... ...
- 무선통신 가능한 ‘전자피부’, 세계 최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7.11
- 전자피부를 사람의 가슴 부위에 붙여 심전도와 호흡수를 수집하고 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기본적인 건강상태를 24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심장질환자, 고령의 노인 등 수시로 건강 확인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