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효성
유익
실용
useful
도용
횡령
쓸모있음
뉴스
"
유용
"(으)로 총 1,490건 검색되었습니다.
AI는 '이것' 세 가지만 봐도 안다. '그 코로나 환자'가 숨질 가능성을
동아사이언스
l
2020.05.15
9 환자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젖산탈수소효소(LDH)와 림프구, C반응성단백(CRP)을
유용
하게 활용했다. 이중 LDH는 즉시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구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LDH를 지표로 판별한 것은 높은 LDH가 폐렴과 같은 폐질환을 포함해 다양한 질병의 조직 파괴와 ... ...
코로나19 UV소독·살균 터널 효과 검증 안됐다…가정용 락스 묽게 해 닦아야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섬유 재질 물체 소독을 위해선 주기적인 세탁이 더
유용
하다. 야외 공간을 소독하는 것도 자제하라는 권고다. 실외를 소독하는 것은 바이러스 확산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과학적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소독제 성분이 환경에 잔류해 생태 환경에 해를 끼칠 ... ...
“코로나19 바이러스 일부 변이 발견"… 과학자들 "변종 등장 아니지만 계속 감시해야”
2020.05.12
파악하고 감염의 기원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새로운 형태의 감염을 발견하는 데
유용
하다는 의미다. 로만 교수는 “특히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모니터링은 현재 개발중인 치료제와 백신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만일에 변이가 발견되면 박테리아 항생제에 내성이 생기는 것처럼 개발중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투입해 원하는 유기분자만 만들어 뽑아 쓸 수 있다면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없애면서
유용
한 물질을 얻으므로 이게 바로 일석이조 아닐까. 그런데 자연의 광합성이 워낙 복잡한 화학반응 네트워크인 데다 설사 이를 충실히 재현한다고 해도 비효율적이라는 게 문제다.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 ... ...
IBM CEO "모든 기업, AI 기업 돼야…코로나로 디지털 전환 가속"
연합뉴스
l
2020.05.06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지금뿐 아니라 앞으로 몇 년간은 비즈니스와 고객에게
유용
할 새로운 솔루션, 새로운 근무 방법, 새로운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개발할 수 있는 기회"라고 설명했다. 그는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두 가지 주요 동력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AI를 꼽았다. IBM은 이날 ... ...
[방구석 과학] 달고나 커피, 저을수록 찐득해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05.02
못해 거품이 안정화됩니다. 즉 크림이 만들어지는 거죠. 이런 효과는 식품 제조 과정에
유용
하게 쓰입니다. 대표적인 식품이 머랭입니다. 계란 흰자와 설탕을 이용해 만드는 머랭은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인데요. 흰자에 포함된 단백질 성분으로 거품을 만들고 설탕을 더해 크림 같은 식감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당혹스러운 63대 36 논란
2020.04.29
파악하기 어려운 큰 규모의 정보를 압축해놓은 통계는 정부·기업·개인 모두에게
유용
한 의사결정의 기초자료가 된다. 통계는 자연을 이해하고, 위험을 예방하고,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그렇다고 통계가 만능일 수는 없다. 마크 트웨인은 세상에 ‘거짓말, 새빨간 ... ...
'세상에 없던 문제'로 인류 지식·삶의 질 지평 넓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때 순식간에 피난공간을 만들거나 필요할 때 빠른 시간에 초대형 구조물을 세울 수 있어
유용
하다"고 말했다. 박 교수팀은 이날 텐세그리티를 이용해 매우 가볍고 제작 비용이 적게 들면서 거대하고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제안했다. 현재 대부분의 텐세그리티는 직선의 구조물을 ... ...
환경보호 기술 쏟아지지만 기후변화는 계속된다…기술이 정말 지구 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통해 온실가스 2820만t을 감축하겠다는 목표가 제시됐다. CCUS는 이산화탄소 포집과 이를
유용
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다. 하지만 2018년 발표된 새 로드맵에서는 감축분은 1030만t으로 줄었다. 하향된 목표치마저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30년까지 추진하는 ‘ECC2030’ 사업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차오 교수는 ‘호중구 대 림프구의 비율(NLR)’이 코로나19 중증도와 예후를 알려줄
유용
한 지표라고 주장하는 중국 우한대 인민병원 연구자들의 논문을 인용했다. 지난 3월 12일 의학 분야 학술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medRxiv)에 올라온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생리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