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42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드름 치료하는 똑똑한 박테리아…합성
생물
학으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생물
구성요소를 변형하는 합성
생물
학의 성공적인 사례로도 평가된다. 구엘 교수는 "이번 연구에선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는 기술 플랫폼을 개발했다"며 "현재는 여드름 치료에 집중하고 있지만 향후 면역 ... ...
"북쪽에서 왔어요"…남극 외래종 ‘겨울각다귀’ 기원은 북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포함한 대부분의 기지에서 볼 수 있는 곤충이 됐다. 남극은 1950년대까지 외래
생물
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여겨졌다. 남극을 둘러싸고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거대 해류인 ‘남극순환류’와 극한의 기후가 자연 장벽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급격한 기후 변화와 남극 관광 등의 ... ...
[과기원NOW] DGIST, 빛으로 작동하는 신개념 광 GPU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연구팀은 건물 외벽이 노후되어 발생하는 페인트 가루가 토양
생물
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주목했다. 옛 동독 지역의 폐가 주변에서 땅에 떨어진 페인트 조각을 분류해 예쁜꼬마선충에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페인트 가루는 예쁜꼬마선충의 번식을 억제하는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 기술을 개발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 감염
생물
학연구소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는 202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 글로벌 학계에서도 인정받는 한국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 ...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극단적 선택 충동 유발? "연관성 적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내용의 보고 약 150건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생물
의학과 연구팀은 미국 국립약물남용연구소와 함께 세마글루타이드 계열 약품인 위고비와 오젬픽을 처방받은 사람의 전자건강기록 5만 3000여 건을 분석했다. 비(非) 세마글루타이드 계열 유사 약품을 처방받은 ... ...
[주말N수학] 반려견은 사람 나이로 몇 살일까
수학동아
l
2024.01.06
훨씬 빠르게 흘렀다. 예를 들어 생후 7주의 강아지와 생후 9개월의 아기는 비슷한
생물
학적 나이를 갖고 둘 다 이때쯤 첫 이가 나기 시작하는데 한 살쯤 되면 아기가 고작 옹알이하고 있을 때 강아지는 갑자기 장년이 돼버렸다. 그러다 7살쯤 되어 노년에 이르면 시계는 다시 천천히 흘러 인간의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24.01.06
독려하고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벨기에 앤트워프대
생물
학과 연구팀이 2023년 8월 24일 국제학술지 ‘푸드 애디팁스 앤 컨태미넌츠’에 발표한 시중에서 판매하는 빨대 39종의 과불화합물(PFAS) 검출 시험 결과. 종이 빨대의 PFAS 농도가 다른 빨대보다도 높았다. ... ...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멸종에 더 취약한 양서류를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도마뱀. 국립
생물
자원관(이정현) 제공 ● 도마뱀 도마뱀은 뱀과 거북처럼 땅에서 생활하는 파충류입니다. 피부로도 숨 쉬는 도롱뇽과는 달리 폐로만 숨을 쉬지요. 그래서 도마뱀은 열대 지방의 건조한 사막이나 온대 지방의 ... ...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와의 전쟁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을 활용해 항생제 내성균의 발달과 확산을 감시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항생제 내성은 미
생물
이 항생제 내성을 가진 유전자 돌연변이에게서 유전 정보를 획득할 때 생긴다. 어떤 유전 정보가 내성을 유발하는지, 어떤 환경에서 유전 정보의 이동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하면 항생제 내성균에 대항할 ... ...
인간만큼 정교한 치료하는 개미…감염 알아채고 항
생물
질로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행동을 탐구하고 싶다”며 “화학연구단체들과 협력해 마타벨레 개미들이 사용하는 항
생물
질을 분석해 인간에게 유용한 항생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는 후속 연구도 진행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