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뉴스
"
발달
"(으)로 총 2,30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척추동물 25종의 유전체를 해독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1
염색체와 누락된 것으로 의심되는 유전자가 발견됐고 사람과 마모셋원숭이의 뇌에서 뇌
발달
과 뇌질환과 관련된 2533개의 유전자가 서로 비슷하다는 것도 알아냈다. 스라소니의 경우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빛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알아내 기후 변화에 적용하는 방법을 밝히기도 했다. ... ...
"모유 수유 기간 길수록 아이 인지기능 높아"
연합뉴스
l
2021.04.30
지각-운동 조절기능, 지능(개념 형성,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다. '사춘기 인지
발달
연구'(ABCD: adolescent brain cognitive development) 대상 9~10세 아이들 9천여 명의 신경인지기능 검사 점수와 모유 수유에 관한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신경인지기능 ... ...
[인터뷰]"코로나 시대, 국가대표 팀 닥터 역할 더 커졌지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4.28
전문의가 주치의를 맡는다. 스포츠 팀에 전문 주치의를 두는 제도는 스포츠의학이
발달
한 유럽에서부터 1990년대 도입됐다.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인체와 운동의 관계를 연구해 선수가 건강하게 운동할 수 있게 돕는 한편 최고의 경기력을 내도록 돕는 것이다. 이런 움직임은 유럽에서 인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아프리카 케냐에서 발굴된 176만 년 석기에서 기술적으로
발달
한 아슐리안 문화의 흔적이 처음 나타난다. 인근 에티오피아에서도 175만 년 전 아슐리안 석기가 발굴됐다(사진). 인지능력이 높아졌을 뇌의 형태 변화가 나타난 시점과 장소가 아슐리안 문화의 등장과 거의 ... ...
인간-원숭이 잡종 배아 첫 탄생…장기 이식 연구 기대와 생명윤리 우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지침에서 인간-동물 키메라가 짝짓기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또 인간 세포가 동물 배아
발달
과정에서 신경계에 통합될 수 있는 경우 추가 윤리감독이 필요하다고 권장하고 있다. 동물 배아에 인간 세포를 넣는 실험에 대한 각국의 입장은 엇갈린다. 일본은 2019년 인간 세포를 넣은 동물 배아 실험 ... ...
[르포]기후변화로 멸종위기 맞은 ‘구상나무’, 유전자 관리로 제2 전성기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실제 구상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으로 모양이 아름다워 정원 문화가 잘
발달
한 유럽이나 북미 등지에서는 개량을 거쳐 관상수와 공원수로 쓰인다. 크리스마스 트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기도 하다. 해외에 있는 구상나무들이 한국 구상나무의 자손들인 셈이다. 연구팀이 복원 ... ...
국내 뇌연구 '어벤저스' 뭉쳤다...코로나 시대 고립과 정신질환 극복 연구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신경 활성 패턴을 바꾼다는 보고가 학계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청소년기 사회성
발달
과정에서 고삐핵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하는 치료 전략을 찾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연구진은 ‘비자발적인 사회관계 축소에 따른 뇌기능 변화 연구 및 조절 기술 개발’을 ... ...
인간-원숭이 잡종 배아 첫 탄생...장기 이식 연구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연구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벨몬테 교수는 “향후 키메라를 이용해 초기 인간
발달
을 연구하고 이식 가능한 세포나 조직, 장기를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
"코골이 아이, 뇌 구조에 변화"
연합뉴스
l
2021.04.14
의대 소아 두경부외과 전문의 아말 이사이아 박사 연구팀이 '청소년 뇌 인지
발달
'(Adolescent Brain Cognitive Development) 연구에 참여한 아이 1만여 명(9~10세)의 뇌 MRI 스캔과 코골이 습관에 관한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UPI 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아이들 부모의 보고에 따르면 ... ...
나이 들면 함께 늙는 뇌, 신경줄기세포로 회춘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1.04.14
때문이다. 지금까지 신경 줄기세포 생물학에서 Abl 1은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했다.
발달
이든 노화든 본격적으로 이 유전자의 역할을 연구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ALS(일명 루게릭병)는 UBQLN 2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다. 이 유전자는 잘못 접힌 단백질 등 세포 노폐물의 처리를 조절하는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