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포트
보고서
report
숙제
르뽀
레포
보고
뉴스
"
리포트
"(으)로 총 1,084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속 ‘투명인간’ 만드는 약, 현실에 등장
2016.01.11
‘액트-프레스토’ 기술을 이용해 실험용 쥐의 몸을 투명하게 만들었다. 뼈까지 투명해지면 아무 것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면역염색 기법을 이용해 뼈를 붉은색으로 염색 ...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 11일 자에 실렸다. ... ...
전자레인지와 치매, 무슨 관계일까요
2015.12.22
연구팀은 마이크로파를 펄스 형태로 쪼여 아밀로이드 섬유의 구조를 원하는대로 변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 성균관대 제공 치매의 원인 물질로 꼽히 ... 설계 기법으로 쓰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 11월 23일 자에 실렸다. ... ...
나이 들어도 늘 푸른 ‘어치’, 비결은
2015.12.22
속 미세 나노 구조를 정교하게 조절하는 능력에 있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Scientific Reports)’ 21일 자에 발표했다. 까마귓과의 새인 어치는 푸른빛의 등과 뽀얗게 하얀 배를 자랑한다. 나이가 들어도 빛깔에는 변함이 없다. 연구팀은 어치 깃털 속에 구멍이 송송 뚫린 스펀지 ... ...
참치·연어 기름 먹으면 체내 지방 ‘뚝’
2015.12.21
체내 지방을 태우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고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 17일 자에 발표했다. 생선기름 속에는 EPA(에이코사펜타엔산), DHA(도코사헥사엔산) 등 불포화지방산 성분이 풍부하다고 알려졌다. 카와다 테루오 교토대 교수는 “이전 연구에서 생선기름이 지방축적을 ... ...
국내 연구진, 초정밀 시스템의 시계 역할하는 '클럭' 기술 개발
2015.11.12
국내 연구진이 광섬유 광학 기술을 이용해 오차가 수백 조 분의 1초에 불과한 클럭(clock) 발진기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클럭 발진기는 정보통신시스템을 비롯해 입자가 ... 고성능 클럭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 4일자에 실렸다. ... ...
대학 안전의식 심각… 안전사고 10건 중 9건이 대학
2015.11.09
일반적인 생물실험실. 실험재료가 다른 미생물에 오염되거나 다루는 미생물이 실험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무균실험대’ 안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사람에게 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은 미생물을 다루는 ‘생물안전도(BL)1’ 실험실이 여기에 해당한다. - 동아일보DB 2007~2014년 국내 실험실에서 ... ...
건국대 폐렴 사고 원인은 썩은 동물사료 속 ‘곰팡이’
2015.11.09
서울 광진구 건국대 서울캠퍼스 동물생명과학대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질병이 발생해 건물이 폐쇄됐다. - 동아일보DB 서울 건국대에서 지난달 19일 처음 발생한 집단 폐렴 사태의 원인을 조사 중인 방역당국이 실험실 안에 있던 썩은 동물사료에서 발생한 곰팡이균을 발병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 ... ...
지난해 실험실 안전사고 22건은 ‘화학물질’ 때문
2015.11.09
대학 연구실에서는 공기 중 감염 외에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일어난다. 특히 이는 화학물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화학물질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다루는 생물 분야 실험실부터 물리학, 화학공학 등 이공계 대부분 실험실에서 두루 쓰인다. 화학물질의 종류도 에탄올 같은 ... ...
“실험실 안전, 가장 중요한 건 결국 연구자 의식”
2015.11.09
“미국에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다루는 실험을 했어요. 당시 임신 중이었음에도 실험실이 위험하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습니다. 철저한 안전 기준이 있었거든요.” 문애리 덕성여대 약대 교수는 1980년대 후반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면서 임신과 출산을 겪었다. 피폭의 위험이 ... ...
수도권 12개 大 연구원 인터뷰 “건국대 사태, 남 얘기 아니다”
2015.11.09
“대학 실험실에서 한 번이라도 미생물을 다뤄본 연구자라면 이번 건국대 사태가 남의 얘기처럼 느껴지진 않을 겁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을 다루는 연구자는 늘 감염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연세대 석사 졸업생) 동아일보는 실험실 안전 실태를 파악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