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어린이과학동아
"
짝
"(으)로 총 765건 검색되었습니다.
6월 최우수 기자는 과연 누구? 과천에는 모임이 있어요
기사
l
20140710
기자단의 첫 취재였던 아이큐아리움 탐방부터 활발히 참여했던 윤민지 기자가 드디어 최우수 기자의 영광을 얻었네요. 축하해요!
짝짝짝
~. 정영훈 어린이과학동아 편집장과 다정하게 한 컷~ 굉장히 많은 우승후보가 경쟁했던 지난 5월과 달리 이번에는 일찌감치 두 후보가 달려나왔어요. ‘과천에는 모임이 있 ...
C7994-0702-(A-8) E삼한팀 우렁이를 넣어 유기농으로 쌀을 재배하는 논에서
탐사기록
l
20140702
C7994-0702-(A-8) E삼한팀 우렁이를 넣어 유기농으로 쌀을 재배하는 논에서 우렁이가
짝
짖기 하는 모습과 청개구리를 탐사했어요 ...
'좋은 말'을 하면 모두가 행복해집니다.....
기사
l
20140623
뽑힌 최우수 작품들>> 6월10일 화요일에는 전교 어린이회에서 ‘좋은 말 사용 캠페인’을 열었습니다. 각 반의 회장들이 2명씩
짝
을 지어서 함께 모여서 미리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에 푯말을 만들고 학교 정문과 후문에서 “고운 말 고운 행동, 바른말 바른 행동”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좋은 말은 행복입니다” 등을 외치면서 등교하 ...
A7960-0612-맹꽁이 노들텃밭에 맹꽁이가 울기 시작했어요.
짝
을 찾고 알을 낳았어
탐사기록
l
20140612
A7960-0612-맹꽁이 노들텃밭에 맹꽁이가 울기 시작했어요.
짝
을 찾고 알을 낳았어요. ...
I7404-0605-A5 합참의장팀 노린재아이들이 무쟈게 많아요 노린재아이들 떼거지로
짝
탐사기록
l
20140605
I7404-0605-A5 합참의장팀 노린재아이들이 무쟈게 많아요 노린재아이들 떼거지로
짝
짓기해요. 달팽이도 많아요. 청개구리도 색상이 정말로 다양합니다. 여기도 참개구리 큰넘과 달퐁의 재회가 있어요. 갑자기 궁금한데요.달팽이와 참개구리의 관계는 무엇일까요?천적?뭘까요? ...
생활 속 재미있는 일을 기사로! 김혜정 기자 인터뷰
기사
l
20140603
무엇이든 호기심을 갖고 관찰하면 좋은 기사 거리가 되거든요! 기자단 : 열정이 넘치는군요! 앞으로 어떤 기사를 쓸 계획인지 살
짝
알려 주세요. 혜정 : 저번에 고슴도치에 대한 기사를 썼는데 기억하시나요? 그 기사 댓글에 2탄을 올리겠다고 적었는데요. 조만간 고슴도치에 대한 재미난 기사를 올릴 테니 기대해 주세요. 이뿐만 아니라 앞으로 기자로서 ...
5월 최우수 기자는 과연 누구? 곤충-식물 채집과 표본 만들기로 생물다양성을 알아요
기사
l
20140603
했고 무엇을 느꼈는지, 과정과 의미를 잘 정리한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혜정 기자의 성실함과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짝짝짝
~. 최근 주목받는 신예로는 아깝게 1등을 놓친 유휘상 기자가 있습니다. 평소 성실한 미션 수행으로 주목받는 유휘상 기자는 글쓰기에서도 엄청난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네요. 특히 [학교 연못에는 누가 살까?] 기사 ...
a6459-0531-a8 수원청개구리
짝
짖기 장면
탐사기록
l
20140531
a6459-0531-a8 수원청개구리
짝
짖기 장면 ...
지구사랑탐사대 2기 청개구리탐사 현장교육을 가다 청개구리들아 너무너무 반가워!!
기사
l
20140515
사람은 나, 성우, 민규 그리고 구조대원은 재준이가 했다. 시작부터 엄청나게 잡았다. 정말 귀엽고 신기했다. 우리들은 암컷과 수컷이
짝
짓기를 하다가 암컷이 수컷을 버리는 장면도 보았다. 정말 웃기면서도 책에서 읽은 자연의 생활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유익했다. 북방산 개구리도 잡았다. 청개구리처럼 채집통 벽에 붙지는 못하지만 덩치가 컸다. 청 ...
나는야 에코리더 자연은 알면 알수록 좋아진다
기사
l
20140514
때문이었다. 선생님께서는 중랑천이 바다와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하셨다. 다음은 무당벌레, 개미, 그리고 진딧물 게임을 했다. 거의
짝
피구와 비슷한 방식이었다. 밖에 있는 아이들이 무당벌레가 되고 개미와 진딧물이 한 팀이 되어 안에서 도망을 다니면 무당벌레들이 진딧물을 맞추는 것이었다. 이 게임을 통해서 공생과 천적관계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