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면
마스크
병
사고
방호구
방독면
taal
d라이브러리
"
탈
"(으)로 총 823건 검색되었습니다.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제왕을 많이 닮은 이 나비는 번식이 가능하도록 오랜 삶을 산다. 이 총독은 삼켜도 아무
탈
이 없건만 한번 제왕을 먹어본 쓰라린 경험이 있는 새들은 총독나비 근처엔 얼씬거리지도 않으려든다. 모험을 또다시 하기 싫어서다.그러나 언제나 예외라는 것이 있어서(이 역시 무차별적인 진화덕택이다)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하거나 바륨을 이용해 소화관에 대한 X선 촬영을 했을 때 나타나기 쉽다.직장
탈
(直腸脫)은 항문륜(anal ring)을 통해 직장(대장의 가장 밑에 있는 부위로 항문과 연결돼 있다)이 신체 밖으로 나온 상태다. 이 어처구니 없는 경우는 만성변비에 걸린 사람이 용변중에 너무 힘을 쓸때 발생할 수 있다. 그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죽는다고 한다.일본 대도시의 여러 곳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10종류 이상의 이끼가
탈
없이 자라는 지역은 도심 가까이에는 없다. 적어도 도심에서 50㎞ 이상 떨어진 산간에 가야 가능한 일이다. 도심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종류 수가 줄어 도심지의 가장 심한 오염지역에서는 거의 종적조차 찾기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식품만을 골라 먹여서 구리(Cu)결핍증을 일으켰더니 그 불쌍한 동물은 빈혈, 모발의
탈
색, 뼈의 이상 등을 일으켰다. 그러나 사람이 심한 구리결핍증을 앓았다는 임상보고는 없다. 그러나 가벼운 구리결핍증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생길 수 있다. 구리의 주요한 공급원은 간과 녹황색 채소다. 특히 ... ...
초고속 컴퓨터를 탄생시킬 초전도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샌디아 그룹에서는 액체질소온도인 절대온도 77도 이상에서 초전도현상을 일으키는
탈
륨계 화합물로 반도체소자를 만들고 있다.한편 TRW그룹에서는 고온 초전도체에서의 조셉슨접합기술에 주력하고 있는데, 현재는 이트륨-바륨-구리 산화물로부터 저집적회로를 개발한 단계. 앞으로 조셉슨접합을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꾸준히 연구, 마침내 분리를 해냈고 그 업적으로 노벨상을
탈
수 있었다. 무심코 넘겨 버릴 수도 있는 문제를 차분히 파헤쳐 대발견을 한 좋은 예라 할 수 있다.필자는 미국의 화학계를 높이 평가하는 사람은 아니다. 또 이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 유학의 길을 권하는 것은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UCLA)의 M. 클라인박사는 헤모글로빈 이상으로 발생하는 유전병인
탈
라세미아(thalassemia) 빈혈증 환자에게 정상b-글로빈(globin)유전자가 이입된 환자 자신의 골수세포를 주입, 세계최초로 유전자 치료를 시도했다. 그러나 이 첫번째 시도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시술을 받은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저개발국가들의 필요에 특별히 초점을 맞춘 국제이론물리학연구소(ICTP)가 1964년 이
탈
리아정부의 지원으로 트리에스트에서 발족하게 되었고 몇해 안가서 세계 가난한 나라 과학자들이 정상급 과학자들과 한자리에서 만나 얼굴을 맞대며 이론물리학을 토의할 수 있는 '학문의 메카'로 성장하게 ... ...
너무 먹어도
탈
, 너무 안먹어도
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인해 우리 몸이 어떻게 파괴돼 가는지 알아보자. 구토와 이뇨제 및 완하제 과다복용은
탈
수(脫水)현상을 일으켜 체내 전해질의 평행을 심하게 깨뜨리게 된다. 아울러 몸안의 혈청 칼륨(K)농도를 낮춰버린다. 알다시피 칼륨은 정상적인 세포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성분이다. 따라서 이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모두 미국 유럽쪽에 속한다. 곧 노벨상을 탄 스승 밑에서 연구를 하는 것이 노벨상을
탈
수 있는 첩경이다. 따라서 해외에 있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국내 학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노벨상에 근접해 있다"고 지적한다.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물리분야에서 한때 한국인 첫 노벨상감으로 지목됐던 사람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